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한 번 배우면 평생 써먹는 내 집 마련 원칙 - 자음과 모음
설래는 마음으로 강의를 열며 생각했다.
내 집 마련의 기준을 어떻게 정리하고 있을까?
지금까지 여섯번의 집을 사고 팔고 이사를 다닌 이유는 직장이나 아이들 학교 때문인것 같다.
내가 생각하는 기준은 예산, 직장, 학교, 연식(자본금이 결정해줌) 정도를 본 것 같은데 이번 강의에서는 내가 모르는 아니 알면서도 챙기지 못했던 부분을 얻고 싶다.
이번 강의를 수강하며 느낀점을 키워드로 정리해 보면
-. 나의 기준, 타인의 기준 : 내가 살고 싶고 거주하는데 만족하는 집은 나의기준이고 이왕이면 타인의 기준도 고려하여 만인이 좋아해서 사람들이 몰리는 곳을 선택하면 자산의 가치가 더 많이 오른다.
-. 땅의 가치 판단 : 통계적으로 볼때 부동산의 가치는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우상향 한다고 볼 수 있는데 가장 많이 오른것은 땅이다 땅의 가치가 있는 곳의 아파트는 구축아라도 많이 오른다.
-. 강남 접근성 : 일자리, 교통, 학군, 환경 등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강남에 아파트가 없다면 강남으로 들어오는 교통편이 좋은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 자산의 가치 : 아파트는 단순히 살기좋은곳에 사는 것이 아니라 같은 값이라면 자산의 가치가 많이 오를 수 있는 위치를 선택하고 내집 마련을 해야 한다.
-. 입지가 좋은 곳 : 직장, 교통, 학군, 환경을 두루 갖춘 곳
-. 업무지구 : 서울은 강남권, 여의도&목동, 도심권이 3대 업무지구로 많은 사랍들이 일하고 있다.
-. 균질성 : 택지나 뉴타운 등은 아파트가 많이 몰려있어 균질성이 높다.
2주차 강의 완강 후 너무 많은 분량을 짧은 시간에 수강하니 나에게 맞는 아파트를 찾으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갈아 넣어야 하고, 좋은 집을 선정하기가 어려워진 건 사실이나 기준은 이해한 것 같다.
서울 1급지~5급지, 경기도, 지방 5대 광역시, 예산에 따른 선택지 서울은 5억~12억대, 지방은 3억~6억이상 등 다양한 케이스와 사례로 설명해 주셔서 대략적인 감은 잡은 것 같습니다.
이제부터 나의 조건을 한번 더 꼼꼼히 살펴보고 같은 값이면 더 좋고 많이 오를 가능성이 있는 아파트를 선택하여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70챌린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