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본것]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창 어떤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
(p.35) 프레임을 바꾼다는 것은 대상에 대한 정의를 바꾼다는 의미
(p.70) “행복은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의 문제다
(p72) 상위프레임은 why(왜)를 묻지만 하위프레임은 how(어떻게)를 묻는다는 점
상위 프레임은 왜 이 일이 필요한지 그 이유와 의미, 목표를 묻는다. 비전을 묻고 이상을 세운다.
하지만 하위 프레임은 그 일을 하기 쉬운지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성공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지
구체적인 절차를 묻는다 결과적으로 궁극적인 목표나 큰 그림을 놓치고 시간을 허비
(p73) 어떤 수준의 프레임을 선택하는지는 행복과 의미 추구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p78) 안락한 지대에 벗어나는 용기있는 행동은 오직 접근 프레임을 가진 사람만이 가능
(p86) 프레임은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 문제의 본질이 무엇인지 제대로 프레임하지 못하면
해결할 수 없다.
(p.250) 어떤 프레임으로 제시되더라도 똑같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 바로 그 능력이 경제적 지혜의 핵심이다.
(p.269) 선택과 결정을 내려야 하는 순간 반드시 던져봐야 할 질문은 ”내가 내린 선택이나 결정이
절대적으로 최선의 것인가, 아니면 프레임 때문에 나도 모르게 선택되어진 것인가?이다.
어떤 프레임으로 제시되더라도 똑같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경제적 지혜의 핵심이다.
(p.274) 1. 의미 중심의 프레임을 가져라
-하위 수준으로 세상을 바라보지 않기 왜 평균만 되려고 하는가? 의미 중심으로 프레임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p.291) 10.위대한 반복 프레임을 연마 - ‘습관’
성인기의 성취라는 것은 그것이 어떤 영역이든 ‘중단 없는 노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반복의 위력은
결코 과소평가될 수 없다.
(p291) 자신이 말하는 연습이란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특정 학습 목표를 위해 정교하게 설계되고
반복적인 피드백이 존재하는 계획된 훈련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은 그저 시간만 쌓아가는
단순 반복으로 오해하고 있다. => 노력(양)+효율(질) 중요
한번의 결심으로 프레임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그것이 습관으로 자리 잡을 때까지 리프레임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해야 한다.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새로운 프레임을 습득해야 함
[깨달은 것]
- 어떤 상황과 다른 조건에서도 결정에 대하여 같은 선택을 도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어떤 조건의 프레임에 영향받지 않는 것)
- 세상을 하위 프레임으로 절대 보지 말고 상위 프레임으로 봐야한다는 것
- 타인에 대한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
-어떤 영역이든 ‘중단 없는 노력’ 반복의 위력을 습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정교하게 설계되고 반복적인 피드백이 중요
계획 체계적으로 질도 챙길 것 (단순 의미없는 반복은 절대 하지 말 것)
세상을 바라보는 프레임에 따라 나의 행복과 목표가 결정될 수 있다는 것
[적용할 점]
- 모든 것을 바라볼 때(문제해결, 선택 등 모든 것)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진정한 본질을 볼 것
-‘중단 없는 노력’을 시도해 볼 것
-하위 프레임으로 실패하면 어쩌지 같은 나약한 생각을 버리고 시도하기
(상위 프레임을 쓴 인생살기)
------------------------------------------------------------------------------------------
(나눠보기 싶은 이야기)
-(p.72)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갖기 쉬운 프레임은 대개 하위 수준이다.
'당장 먹고살아야 하기 때문에' '귀찮아서' '남들도 다 안하는데 뭘'등과 같은 생각은 하위 수준
프레임의 전형이다.
=> 이 책을 읽고 지금까지 나의 하위수준의 프레임의 생각과 행동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이고
이 책을 통해 어떻게 바꿔야겠다고 느낀 사례가 있다면 소통해보고 싶습니다.
댓글
초심자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