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투자실전반 4주차 강의 후기입니다.
이번 강의는 투자과정의 디테일을 알려주시는 권유디 튜터님께서 맡아 주셨습니다.
오늘 배울 내용은 지방투자 꼭 알아야 할 프로세스입니다.
가계약금을 넣고, 본계약을 하고, 전세를 세팅하는,,,
1등 뽑기 이후에 우리가 해야할 A to Z를 차근차근 알려주셨습니다.
투자를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첫 투자를 망설이는 수강생들에게
실효적인 도움이 되는 강의를 준비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자라면 매수 프로세스를 알고,
어떤 부분을 챙겨야하는지 미리 알고 있어야 합니다.
매월 임장보고서를 쓰면서 1등 뽑기를 하고,
시세 트래킹을 하면서 매물 털기를 하다가
정말 싼 물건을 만났을 때 우리는 매수를 결정 해야하는데
그 때 가서 무엇을 해야하는지 우왕좌왕하면 안되니까요.
가계약금을 넣고 불안해 하고,
심지어 계약을 포기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는 등기사항증명서, 시세를 미리 확인하고,
주요 조건과 중요한 특약을 미리 협의해야 합니다.
요즘은 부동산 사장님들이 잘 챙겨주시는 편이지만,
협의된 조건은 확인 문자를 남기는 것이 필요합니다.
인상 좋은 부동산 사장님을 통해
매도자와 구두로만 협의했다가는 낭패보기 쉽습니다.
가계약금는 낙장불입이라고 생각합니다.
돈을 넣으면 바꿀 수 없는 것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가계약은 "계약금의 일부"입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가계약 확인 문구가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고,
문제 발생 시 결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부동산 계약서를 쓰기 전에
부동산 사장님께 특약을 반영해 달라고 미리 문자를 보낸 적은 있었지만,
계약 당일 현장에서 반영하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계약서 초안을 미리 받으면 껄끄러운 상황을 피하면서,
필요한 내용을 계약서에 담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나아가, 전세 계약을 새로 맞춰야 하는 상황에서,
부동산사장님과 어색해지지 않으면서
다른 부동산에 물건을 내 놓을 수 있는 팁도 배웠습니다.
아파트 매수 계약을 체결했다면?
이제 전세를 맞춰야 합니다.
물론 주인이 집을 팔고 세입자로 거주하거나,
세입자가 이미 있는 집을 사는 경우에는 전세를 새로 맞출 필요가 없겠지만요.
전세를 잘 맞추기 위해서는 임차인의 입장으로 돌아가
전세자금대출을 꿰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임차인들이 전세자금대출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내용을 잘 알고 있으면 전세 셋팅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습니다.
나아가, 전세보증금을 반환할 때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하는 일도 피할 수 있구요.
사는 것보다 더 어려운 것이 파는 것이라고 합니다.
매도에도 기준이 있습니다.
현명한 월부 투자자는 수익률, 포트폴리오, 리스크를 고려해서 매도를 결정합니다.
지난 1년간 강의를 들으면서 아파트 매수에만 집중하고 있었는데,
매도는 깊이 생각해보지 않은 것 같습니다.
지방 투자를 고려하는 시점에
매도 프로세스를 짚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부동산 계약서를 쓰면서 어려웠던 부분들을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가려운 부분을 박박 긁어주셨습니다.
특약 문구를 넣고 싶은데 계약 당일 부사님이나 매도자와의 관계를 걱정하며,
내 자신과 타협한 적도 있었는데,
특약 부분을 미리 작성을 요청드릴 수 있다는 것과,
협의된 특약을 깨지 않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부동산 사장님이나 세입자와 어떻게 대화를 주고 받아야 하는지 많이 배웠습니다.
어떤 문자를 보내고, 어떻게 통화하는지 디테일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 프로세스를 매수부터 매도까지 모두 알려주셔서,
이제 정말 투자를 해야할 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투자 프로세스별 체크리스트&주의사항 정리하기(매수 / 보유 / 매도)
가계약금 특약 문구 작성해서 나에게 문자 보내기
댓글
저도 이젠 두려움이 많이 없어진듯해요. 강의 너무 좋았고 아직도 그 여운이 남아있는기분입니다.ㅎㅎㅎ 러버님은 후기도 어쩜 이렇게 깔끔하게 잘 쓰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