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면양발입니다.
부동산 투자는 수학처럼
딱딱 떨어지는 분야가 아니기에
부동산의 가치를 비교하고
싼지 비싼지를 판단하는 비교평가는
월부 베스트 FAQ입니다..ㅎㅎ
마침,
월부학교 2강에서는
센스있게 튜터님과 함께
비교평가를 잘 할 수 있는
3단계 과정을 살펴보았는데요.
그동안 비교평가를 하면서
막연했던 부분들에 대해
명확하게 짚고 넘어갈 수 있는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수강생들이 잘 되길 바라는
진심을 가득 담아
가르침 전해주신 센쓰 튜터님께
감사드립니다.
비교평가가 어려운 이유
광역시 신축 59 vs 중소도시 준구축 84
입지 떨어지는 곳 신축 vs 입지 좋은 구축
위와 같은 질문에
많은 분들께서 골머리를 앓고 계신데요..
이것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요?
비교평가가 어려운 이유는
바로 변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튜터님께서는
비교평가를 잘 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변수를 잘 통제할 줄 아는게 첫번 째임을
강조해주셨습니다.
그리고 가급적 쉬운 비교부터 해나가는것이 좋은데
- 같은 지역 내 비교
- 비슷한 지역 간 비교
- 위상이 다른 지역 간 비교
이런 식으로 범위를 넓혀가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지역 간의 비교로 넘어가게 되면
단지 대 단지 비교에 앞서
지역의 특징을 먼저 고려해야한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그렇다면 비교평가를 잘 하기 위해
우리가 해나가야할 일은 명확합니다.
최대한 많이 현장을 발로 밟고
임장보고서를 통해서 손품을 팔며
지역을 깊고 선명하게 만들어야 하는데..
과연 그동안 선명한 앞마당을 만들고 있었는지
되돌아보게 되었습니다.
BM. 지역 간 비교 시 지역 특징 먼저 고려하기.
스스로 만든 벽
비교평가가 어려운 두 번째 이유는
나의 재정상황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같은 물건이라도 개인의 상황에 따라
누군가에게는 투자가 가능하고
누군가에게는 투자가 불가하기도 합니다.
튜터님께서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현명한지
여러가지 사례를 들어주셨는데요.
보유 주택의 개수와 종잣돈, 투자금 상황에 따라
명확한 로드맵을 그려주셨습니다.
한편, 투자를 이어나가다 보면
주택수가 늘면서 취득세를 고민하게 됩니다.
그래서 보통 절대가를 그어놓고
예를 들면 3억 이하 물건만 본다거나
스스로 마지노선을 긋게 되는데요.
하지만 튜터님께서는
지금과 같은 하락장에서는
같은 투자금이 더 좋은 단지를 선택해야하기에
이런식으로 매매가 자체를 제한해 놓으면
기회를 놓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셨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스스로 정해놓은 벽이 아닌,
더 넓게 비교할 줄 아는 넓은 시야임을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었습니다.
BM. 가치별 가격대, 투자금 정리하기
결정적인 순간에 한번 더
튜터님께서 5년차 투자자로서
끊임없이 성장해오신 비결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해야할 일들을 해나가신 점입니다.
하지만 여기에 하나 더
남들 보다 한 번 더
해나갔던 노력이 숨어있었습니다.
계획된 임장을 마친 뒤에도
옆에 지역까지 한번 더 보는 것.
남들이 멈추는 지점에서
한발자국 더 나아가는 것.
이런 작은 노력의 차이들에
시간이 쌓이며 복리의 힘에 따라
남다른 성과로 나타난게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BM. 포기하고 싶은 순간에 한 번 더.
적지 않은 시간동안
진심을 다해 가르침 나눠주신
센쓰 튜터님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댓글
수면양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