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One Message
→ 성과를 내기 위해서 뾰족한 삶을 살자.
One Action
→ 10번의 거절과 1번의 승락
→ 나의 방향성이 날카롭지 못하다고 느낄 때!
본 :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깨 : 성과를 내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내용들이라 생각되지만 막상 또 잊어버리고 살고 있었다. 이번에 읽으면서 짧게 길게, 그리고 크게 생각하자라는 부분이 와닿았다. 전에는 이 부분이 어려웠던것 같다. 내가 그렇게 하기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 있어서 일지도 모르겠다. 그 벽을 깨부셔야 한다!
적 : 독서 습관 재 장착을 위해 66일 간 독서 인증!
10p. 당신의 ‘단 하나’는 무엇인가?
→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는 단 하나는 무엇일까?
18p.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 한정된 자원 안에서 최대한의 아웃풋을 내야 한다.
26p. 우선순위를 새로 정하고 첫 번째 도미노 조각을 찾은 다음, 그것이 넘어질 때까지 있는 힘껏 내리친다. 핵심은 오랜 시간이다. 성공은 연속하여 쌓인다. 단, 한 번에 하나씩이다.
37p. 성공의 핵심에는 ‘단 하나’가 자리 잡고 있다. 바로 그 단 하나가 탁월한 성과를 이끌어 내는 시작점이다.
→ 좁히고 좁혀서 하나의 작은 조각을 찾아내고 뒤로 도미노는 줄을 지워서 놓고 첫번째 도미노를 최선을 다해서 넘기자.
46p. 모든 결정을 섣불리 내리다 보면 정작 중요한 결정의 순간에도 대충 선택하게 되고,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정은 오히려 함정이 되기도 한다.
53p. 할 일 목록에 파레토의 원칙을 적용할 때에 비로소 성공 목록이 된다.
54p. 계속해라. 20퍼센트만 남기고, 거기에서 다시 20퍼센트만 남기는 식으로 가장 중요한 단 하나에 이르기까지 계속해라.
56p. 가장 중요한 일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 되어야 한다.
→ 중요한 결정에 에너지를 많이 쏟아야 한다. 의지력이 얇게 펼쳐지면 쉽게 뚫린다.
62p. 해야 할 모든 일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시간 내에 너무 많은 일을 해야만 한다고 느끼는 것이 문제다. 그래서 모든 일을 해낼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두 가지 일을, 아니 세가지 일을 한꺼번에 한다.
→ 한꺼번에 일을 하는 것은 오만한 생각이다. 자기를 몰라도 너무 모르는 것이다. 작업 전환 사이 사이에 버퍼링이 걸리는 시간이 엄청 많고, 결국 같은 성과를 낼 때 더 많은 시간이 소요 된다.
77p. 올바른 습관 계발에 어떤 성과가 따르는지는 말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그것은 당신이 원하는 성공을 가져다준다. 거기다가 때로 간과되는 뜻밖의 소득도 얻을 수 있다. 일단 인생이 더 뚜렷하게 보이고 덜 복잡해진다. 무엇을 잘해야 하는지, 무엇을 할 필요가 없는지 알게 되기 때문이다. 마이클 펠프스는 수영장에서 자신만의 강점을 찾아냈다. 그리고 그 강점을 선택적 집중을 통해 습관으로 만들었고, 그 습관은 그의 삶을 바꿔 놓았다.
→ 올바른 습관을 장착하기 위해서 노력 하자. 자연스럽게 될 수 있도록!
84p. 의지력은 늘 꺼낼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95p.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으로 처리해야 한다. 다시 말해 중요한 일은 하루 중 가장 의지력이 충만한 시간에 하라는 뜻이다.
96p. 의지력과 싸우지 마라. 의지력의 작동 방식에 맞춰 하루 일과와 인생을 설계하라. 의지력을 늘 꺼내 쓸 수는 없을지 몰라도 가장 중요한 일에 가장 먼저 수용할 수는 있을 것이다.
→ 의지력도 한정된 자원이라는 것을 인식하자. 그러니까 중요한 자원을 소중한 곳에 사용하자.
104p. 균형을 추구하지 말아야 할 이유는 기적이 결코 중간 지점에서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기적은 바로 극단에서 일어난다.
108p. 중요하지 않은 어떤 일들을 미완성인 채로 남기는 것은 탁월한 성과를 얻기 위해 반드시 치러야 할 대가와 같다. 하지만 모든 것을 미완의 상태로 남겨 두어선 안된다. 이때 바로 중심 잡기가 필요하다. 다만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멀리까지 가거나 나중에 돌아왔을 때 당신을 기다리는 것이 아무것도 없을 정도로 오래 걸리지 않으면 된다.
110p. 중요한 것은 중심을 잡느냐 잃느냐가 아니라 짧게 가느냐, 길게 가느냐다.(1mhz 생각나버림~). 길게 가면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다른 것들을 희생시키는 한이 있더라도 가장 중요한 것에 집중할 수 있다.
→ 이도 저도 아닌 태도로는 애매한 성과 밖에 기대할 것이 없다. 하지만 놓치지 말아야 할 것들도 있다. 시간을 너무 뒤로 미루지 말자. 잠깐이라도 집중해서 챙기자.
116p. 우리 삶의 경계와 한계는 명확하지 않다. 그런데 왜 자꾸 한계를 지으려 하는가?
117p. 크게 생각하는 것은 곧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생각하는 것. 큰 것이란 가능성의 도약이라는 말로도 바꿀 수 있다. 큰 성과를 가능하다고 믿으면 기존과 다른 질문을 던지게 되고, 다른 길을 따르게 되며, 새로운 것들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것들은 다시 지금까지 당신의 머릿속에만 있었던 다양한 가능성들에 문을 열어 준다.
125p. 큰 일을 두려워하지 마라. 평범한 이류에 그치는 것을 두려워하라. 재능의 낭비를 두려워하라. 삶을 최대한으로 살지 못할 것을 두려워하라. 용기가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 것이 아니라 두려움을 넘어서는 것.
→ 큰 생각 - 큰 행동 - 큰 성공
본 : 초점탐색 질문의 힘은 강력하다. 문제 해결의 핵심 또는 발전의 핵심 질문을 통해서 첫번째 도미노를 제대로 놓을 수 있다. 질문은 크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깨 : 질문을 해야 계속 생각하고 그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다.
적 : 문제를 만나면 초점탐색 질문 활용하기.
139p.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그것을 함으로써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 바로 그 일은 무엇인가?
→ 정말 중요한 질문이다. 핵심을 뚫는 질문을 할 수 있어야 한다.
164p. 새로운 해답은 언제나 새로운 행동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성공으로 가는 길에서 스스로에게 변화가 일어난다고 해도 놀라지 마라. 멈추지도 마라.
→ 큰 성과를 낸 사람을 bm하고 그 뒤로 발전 시키자. 큰 목표를 구체적으로 남겨야 한다.
본 : 목적의식, 우선순위, 생산성, 단 하나의 일을 마치는 것, 지속적인 방법의 개선, 나 자신이 중요한 삶을 살자.
깨 : 선택과 집중이라는 말이 계속 생각 났다. 큰 성과를 낼 수 있는 일에 우선순위를 두고 그 일을 완수하는데 집중하자. 좋은 사람이 좋긴 하지만 평생 좋은 사람으로 살다가는 삶의 마지막에 후회할 수 있다. 내가 필요할까봐 함부로 못하는 것 아닐까? 친절은 유지하지만 선은 지켜보자!
적 : 10번 거절하고 1번 승락하자.
171p. 목적의식과 우선순위, 생산성을 어떻게 연결하느냐가 성공하는 개인과 수익성 높은 기업이 다른 경쟁자들보다 얼마나 더 높이 올라갈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바로 탁월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핵심이다.
→ 투자자로 목적의식 : 투자를 잘하는 것! 그럼 결과는 따라 온다.
177p.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싶어 하는지가 곧 우리의 하는 일과 성취하는 바를 결정짓는다. 목적의식에 따라 사는 삶은 그 무엇보다도 강력하고 그 무엇보다도 행복하다.
→ 방향과 최종의 목표가 정말 중요하다. 내가 잠시 길을 잃었다가도 방향을 다시 잡을 수 있다. 인지가 최종 목적으로 가면 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180p. 행복은 만족을 느끼는 길에서 생겨난다. 우리의 삶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들어 줄 방법을 찾아 거기에 더 몰입하면 할수록 오랫도록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2p. 행복이 목표일 때는 그것을 이루기 위한 수단을 통해서만 행복이 만들어질 수 있다.
→ 의미를 찾고 몰입하는 즐거움을 지투실전 때 느껴봤다.
184p. 하나의 방향을 정하고 그 길을 따라 행진을 시작하자. 그리고 나서 그것이 자기 마음에 드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자. 시간이 시각을 더욱 또렷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언제든 생각을 바꿀 수 있다. 이것은 당신의 삶이니 말이다.
→ 정답은 없다. 나의 행복을 향한 여정이다.
201p. 탁월한 성과를 올리는 사람들은 그저 남들보다 오랫동안 일해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내에 더 많은 일을 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정해 두고, 독하게 그 것을 지킨다. 그들은 시간을 정해 두고 지속적으로 행동하는 것과 탁월한 성과 사이에 연관 관계가 있음을 알고 있었다.
→ 남들보다 오래 일해서 얻은 성과가 아니라는 것에 놀랍다. 같은 밀도로 일했다면 당연히 시간을 많이 넣는 사람이 성공에 가깝지만. 시간에선 어느정도까지는 양보단 질이 아닐까?
209p. 관건은 하루 중 최대한 이른 시간 중에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따로 확보해 놓는 것이다. 하루에 네 시간씩을 따로 떼어 두는 것.
→ 유디튜터님은 새벽 3시에 일과를 시작했다고 하셨다. 저녁시간이 없다면 이런 방법도 가능할까?
212p. 아침에는 생산자가 되고 오후에는 관리자가 되어라. 당신의 목표는 단 하나의 일을 마치는 것이다. 하지만 매일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따로 떼어 두지 않으면 당신의 단 하나는 영영 끝나지 않을 것이다.
→ 내가 목표를 가지고 있는 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다.
213p. 매주 한 시간을 따로 떼어 연간 목표와 월간 목표를 검토하라. 도미노를 세우는 것이다.
→ 중간 점검을 하면서 방향이 틀어지는 부분이 있다면 바로 잡아야 한다.
218p. 해야 할 다른 일들이 수시로 떠오른다면 그것들을 할 일 목록에 적고 일단 눈앞에서 치워라.
→ 집중력을 뺏기지 않기 위해서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225p. “단순히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겁니까, 아니면 이룰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겁니까?” 자신의 일하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우리는 그럭저럭 괜찮은 수준에 올랐다고 생각되면 즉각 배움의 스위치를 꺼버린다. 그때부터는 발전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노력 없이 그대로 항로만 유지하면서 성취의 가장 흔한 한계, 즉 ok 고원을 만나 거기에 안주하고 마는 것이다.
→ 어디에나 적용되는 무서운 말이다. 성장이 어느정도 지나고 나면 정체되는 느낌을 받는데. 이 때 한 번더 치고 나가야 한다.
230p. 목적의식을 가지고 돌진하려면 종종 불편한 일딜도 기꺼이 감수해야 하니 말이다. 탁월한 성과를 내기로 결심했다면, 남다른 성취를 얻겠다고 생각했으면 필요한 일은 무엇이든 해야 한다.
→ 대가 없이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다.
241p.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아는 것의 절반은 그것을 얻기 위해 무엇을 포기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다.
→ 손에 모든 것을 쥐고 있으면 새로운 것을 얻을 수 없다. 불필요한 것들은 놓을 수 있어야 한다.
264p. 다른 사람의 기대에 부응하는 삶이 아닌 나 자신에게 솔직한 나만을 위한 삶을 살 용기를 가지자.
→ 남들 시선을 지나치게 신경쓰지 말자. 고쳐야 할 부분.
댓글
보노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