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강의 후기 -1강 (feat. 제주바다)

  • 23.08.06

지 : 아는 것을

행 : 행동으로 옮기자.



수도권은 무조건 입지라는 공식이 있다면, 지방은 그 공식이 살짝 변형된 곳.

지방은 대중교통(지하철)이 없거나 메리트가 없는 곳이 많아, 자차의 비중이 높고 그로 인해 교통의 우선순위가 떨어진다. 입지<신축 의 선호도가 큰 곳이다. 그래도 입지 좋은 구축은 평생간다.

하지만!!

"ㄱ ㅂ ㅅ" 지방의 구마다의 특성이 있고, 납득 되지 않더라고 현재 생활하는 생활권을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방투자의 평균적인 시세차익= 경기도 수준이라는 점에서 굉장히 놀랐고,

그동안 지방을 등한시하고 , 수도권만 찾았다는 점에서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부동산시장의 사이클을 알려주셔서, 앞으로 공급물량을 체크후 2~3년내의 부동산흐름을 살짝 예상해 볼 수 있었다.

BM: 지역의 공급물량및 시기 주기적 확인하기/ 조정들어가는 시점 확인



수도권이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이 긴 편인데 비해 지방은 그 속도가 짧은 편이라 주기적 관찰 필요하다.

BM: 아하! 생각의 전환) 그렇다면 수도권의 상승 사이클사이에 지방의 투자를 넣는다


지방의 권역별로 광역시+ 중소도시를 표시해주셔서, 해당지역 뿐만아니라 주변지역도 같이 볼수 있는 부록을 받은 느낌이었다. 주변도시와의 영향력이 얼마인지에 따라서 리스크 차이도 있으니 주변지역의 공급량에 따른 리스크 체크하기.


인구수와 세대당 인구수 크로스 체크

도시계획개발 확인해보기-어디구에 중점을 더 두는지? 앞으로 어떻게 발전될 것인지?


제주바다님의 또랑또랑한 목소리와 깔끔한 스피치로 강의 내용이 귀에 쏙쏙 잘 들어왔다.

해당지역은 처음이였는데, 수도권과 비교해서 높은 가격이라 너무 놀랐다.

꽤 매력적인 지역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지방투자에 대해 숲을 보게 해주셔서 너무 감사하다.


댓글


오스칼v
23. 08. 06. 22:29

핵심 포인트 쏙쏙 생각나게 하는 후기네요~ 1주차 강의 후기까지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