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중 30기 독서하9 사ㄹ6에 빠질조 긍포크] 2주차 독서후기 (원씽)

23.09.10

제목 : 원씽

저자 :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구세희 옮김)

출판사 : 비즈니스북스

읽은 날짜 : 9/6

 

본깨

P. 19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되어 있다. 그것을 너무 얇게 펼치려 애쓰다 보면 노력은 종잇장처럼 얇아진다. 사람들은 일의 양에 따라 성과가 점점 더 쌓이기를 바라는데, 그렇게 하려면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하다.

- 너무 많은 양을 해냈을 때 느끼던 성취감이 있었다. 그러나 뒤돌아보면 그것은 단지 그 시기에 해야 하는 것이었지 미래를 위한 준비 과정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랬기에 그 성취감은 금방 시들었고 나는 또다시 새로운 일거리를 만들어 또다른 성취감을 맛보는 데에 빠져있었던 것 같다.

더 이상은 양적 성취감이 아닌 ‘원씽’을 이루기 위한 빼기를 해봐야겠다고 생각이 든다.

 

P.28

답이 언제나 뚜렷하게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단 하나’를 찾는 일이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 원씽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초점탐색을 제대로 하여 인생의 원씽을 찾고, 오늘의 원씽을 찾으면 된다.

 

P.48

우리는 할 일 목록 대신 성공 목록을 만들어야 한다. 남다른 성과를 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든 목록 말이다.

-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도 성공 목록을 만들자고 다짐한 적이 있었는데, 아직도 나는 성공 목록을 만들어보지 못했다. 반성해라! 성공 목록은 짧다. 그리고 한 방향으로 이끌어준다. 그렇다면 나는 아직 내 인생에 성공이란 무엇인지 아직 못찾은 것은 아닐까..? 그것부터 찾아보는 것이 원씽의 시작이 될 것 같다.

 

P. 80

당신의 습관이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준다. 당신이 얻는 성취는 한 번의 행동(action)이 아닌 삶에서 만들어진 습관(habit)에서 나온다. 애써 성공을 찾을 필요는 없다. 선택적 집중의 힘을 이용하여 올바른 습관을 들여라. 그러면 탁월한 성과가 당신을 찾아올 것이다.

- 습관의 중요성은 아이들에게도 자주 언급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한번 더 생각해볼 것은 내가 가지려 하는 습관이나 아이들에게 강조하는 습관이 우리의 성공에 도움이 되는 습관인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그래도 독서를 습관화하려는 잔소리(!)는 우리 아이들의 인생의 성공을 위한 길이 아닐까..

 

P.86

의지력, 다른 말로 만족을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은 미래의 성공을 가리키는 매우 중요한 지표였던 것이다…… (중략)………… 의지력에서 중요한 것은 ‘타이밍’이다.

- 아마 이 말은 참을성과도 연관이 있지 않을까 싶다. 당장 하고 싶지만 참는 것, 화가 나지만 한번 더 생각하고 참는 것, 지금 먹고 싶지만 조금만 더 참으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다는 믿음.

참을성이 많을수록, 의지력이 높을수록 성공과도 가까워온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겠다.

 

P.104

균형을 추구하지 말아야 할 이유는 기적이 결코 중간 지점에서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기적은 바로 극단에서 일어난다.

- 내가 부자가 될 확률이 바로 기적이겠지만, 그 기적은 분명히 일어날 것이다. 왜냐하면 나는 일과 삶의 극단을 추구할 것이기 때문이다.

 

P. 125

큰 일을 두려워하면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그것을 피하려고 애쓰게 된다.

크게 생각하고, 목표를 높게 잡고, 대담하게 행동하라.

- 큰 일이 아니라 작은 일도 두려워하는 것이 나의 문제점이지 않을까 싶다. 그래도 벽을 넘어서기 위해 양적으로 밀어붙였더니 조금은 나아진 듯한 느낌! 강제성이 필요하다고 느낀 부분이다. 피하지말자!

 

P.141

위대한 성과는 우연히 나타나지 않는다. 성과는 우리가 내리는 선택과 우리가 취하는 행동에서 나올 뿐이다.

- 경제적 자유는 로또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건 기적이 아니고 내것이 아니다. 내가 노력해서 얻는 부자의 길, 내가 피 땀 흘려 이룩한 경제적 독립이야말로 가치있는 삶이 아닐까. 그러기 위해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발도장을 찍었고, 나역시 월부 안에서 몰입하는 것이겠지! 가장 기억해둬야 할 문장이 아닐까 싶다.

 

P.180

예로부터 많은 철학자들이 행복이란 무엇인지 고민해왔고, 그들이 내린 결론은 거의 비슷했다. 돈과 재산이 많다고 자동적으로 지속적인 행복이 생기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마틴 셀리그만 박사는 우리의 행복에 다섯 가지 요소가 있다고 했다. 긍정적인 감정과 기쁨, 성취, 인간관계, 참여, 의미이다.

- 우리가 파이어할 수 있는 방법은 무궁무진하게 많지만, 적어도 윤리적인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이 당연하다. 여기에서 한단계 더 높이 생각해보자면 파이어했음에도 윤리적으로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해봄이 필요할 것이다. 열기때 너바나님도 그냥 부자 말고, “행복한 부자”가 되라고 하셨다. 이 말이 아직도 뇌리에 깊이 남아있다.

 

P.188

사실 우리가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이유는 단 하나다. 삶에서 중요한 순간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다.

-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목표와 계획을 장기적, 중기적, 단기적으로 나누어 세워야 한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우선순위를 제대로 정해야 한다.

 

P.204

하나의 활동에서 월등하게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온다면 바로 그 하나의 행동에 월등히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만 한다.

- 우리가 현재 임장, 임보에 시간이 많이 투여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부족하고 힘들어하는 것도 다 부자로 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조금 더 쉬워진다. 현재는 양적으로 투여해야 하는 기간이다. 이 시간을 아까워하지 말고, 힘들어하지 마라!

 

P.222

단 하나를 위한 세 가지 약속

1. 전문가의 길을 향해 걸어라.

2.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 이동하라.

3. 책임감을 갖고 살아라.

- 전문가의 길은 아마 목표가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목표를 위해 우리는 목적의식을 가지고 우선순위를 정하여 행동해야 할 것이고, 그 행동에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P.236

명심하라. 우리는 평범한 결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남다르고 탁월한 성과다. 높은 생산성은 아무나 발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를 위해 시간을 따로 확보해두고, 그 시간을 보호하고, 그 시간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했을 때 자신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때 바로 단 하나의 힘을 직접 겪을 수 있다.

- 월부 안에서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것은 평범한 목표가 아니다. 우리나라 10% 안에 들 수 있는 경제적 자유이다. 그렇기에 과정 또한 비범해야 할 것이고, 노력 또한 적당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 나의 원씽은 무엇인지 깊이있게 고민해보자.

- 윤리적으로 “행복한 부자”가 되기 위해 내가 해야 하는 일은 무엇인지 고민해보자.

- 성공 목록 이번엔 꼭 써보자.

 


댓글


스리리
23. 09. 11. 21:09

저는 자유라는 가치를 위해 경제적 자유를 이루려고 하는데, 이 자유라는 가치가 윤리적으로 행복한 부자가 되도록 만들어줄 것 같아요^^ 조장님의 행복한 부자는 어떤 것일지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