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독이 필요했던 원씽.


제 1장 /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 하나'는 무엇인가


19p

-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되어 있다. 그것을 너무 넓게 펼치려 애쓰다 보면 노력은 종잇장처럼 얇아진다. 사람들은 일의 양에 따라 성과가 점점 더 쌓이기를 바라는데, 그렇게 하려면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하다. 더 큰 효과를 얻고 싶다면 일의 가짓수를 줄여야 한다. 한 번에 너무 많은 일을 하려다 보면 처음엔 그렇게 하는 것이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아무것도 줄이지 않은 채 일을 자꾸 더하기만 하면 결국엔 부정적인 결괄르 맞을 수 밖에 없다.


제 6장 /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74p

- 성공에 대한 이야기를 할 떄마다 우리는 늘 '관리'와 '습관'이라는 단어를 만나게 된다. 그 의미는 다르지만 이 두 단어는 높은 성과를 이루는 바탕으로 함께 작용한다. 어떤 목표를 위해 주기적으로 노력하다 보면 그것이 주기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장해 주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자기 관리를 철저히 한다는 건 자신을 스스로가 정한 방식대로 행동하도록 훈련하는 것과 같다. 그 훈련을 충분히 유지하면 일상, 달리 말해 습관이 된다. 그러니 '자기관레에 철두철미'하게 보이는 사람도 실제로는 몇가지 바람직한 습관을 만들어 확립시킨 것뿐이다.


제 7장 /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87p

-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거나 볕이 좋을 때 건초를 말려라' 같은 말처럼 의지력에서 중요한 것은 '타이밍' 이다. 의지가 있으면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 타고난 성격이 의지력에서 중요한 요소를 이루는 것이 사실이긴 하지만 의지력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잘 활용하는 관건은 그것을 이용하는 타이밍에 있다.



제 8장 /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106p

- 시간은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는다. 무언가를 지나치게 극단으로 몰아가며 뒤로 미루다간 그것을 영영 만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제 13장 / 목적의식을 가지고 살아라


175p

- 디킨스는 훌륭한 삶을 만드는 간단한 공식을 보여 준다. 목적의식을 갖고, 우선순위에 따라, 생산성을 위해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177p

-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싶어 하는지가 곧 우리의 하는 일과 성취하는 바를 결정 짓는다.


제 15장 / 생산성을 위해 살아라


205p

- 남다른 성과를 올리고 위대함을 경험하기 위해 필요한 다음의 세 가지 시간을 순서에 따라 확보해 보자.

1.휴식 시간 확보하기

2.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 확보하기

3.계획할 시간 확보하기.


제 16장 / 단 하나를 위한 세 가지 약속


225p

- 최고의 성과를 올리는 사람들을 코치할 때 나는 종종 이런 질문을 던진다. "단순히 최선을 다하고 있는 겁니까, 아니면 이룰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겁니까?"




느낀점 그리고 적용할 점

작년 이직을하고 투자 보다는 업무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단 하나'를 놓치고 있는 것 같은 느낌. 225p 내용처럼 단순히 최선을 다하고 있는 사람인가...? 하는 의문점을 갖게 됐다.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한 최선을 다시 생각해야 한다.


댓글


포배user-level-chip
24. 02. 12. 18:26

최선으로 가즈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