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2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7기 106조 10억 꼭 내년에 이뤄6조 청개굴이]

  • 24.02.15

2주차 강의는 게리롱님이 지방투자와 전주를 어떤 시각과 방식으로 접근하는지 레버리지 할 수 있었고, 지방에서 어떻게 가치를 판별해야하는지, 매번 기계적으로 하던 임보도 어떤 마인드로 작성해야하는지 알게되어 너무 좋았습니다!


입지분석에서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명확하게 알고 하자

본질적으로 임보를 작성하는 이유는 그 지역을 이해하고 가치를 판별하여 투자를 하고자 함인데,

임보를 작성하는데에 치우치다보니 이해를 하지 않고 내용 채우기에만 연연해왔던 것 같아 반성을 했다.

앞으로 입지평가를 할때는, 지방 중소도시에서 거주 선호도가 높은 곳은? / 소득이 높은 사람들은 어디에 살고 싶어할까? / 시내, 인근 지역으로부터 학군 수요를 흡수하는 곳은? /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환경을 가진 동네는? / 향후 리스크가 있을까?&1등 단지, 생활권이 바뀔 가능성이 있을까? / 직주근접이 중요한 동네인가?&교통호재로 입지가 크게 봐뀌는 지역일까? 등 본질적으로 필요한 내용을 생각하며 진행하고, 임보에 녹여야겠다


좋은 물건을 고르자

좋은 것 중에 좋은 것을 고르자, 좋은 물건 중 아직 가격이 반등이 덜된것 + 전세자금이 올라와(또는 상승이 예상되는 것) 투자금이 적게 드는 물건을 골라 상대적 저평가 물건을 고르자!(물론 절대적 저평가 구역을 찾는 것도 중요)


해당 지역의 핵심 입지요소를 알자

물론 입지평가에 해당하는 요소들은 모두 중요하지만, 각 지역마다 거주민들이 중요시 하는 입지요소가 존재한다.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지역의 핵심 입지요소를 파악하고 투자와 연결시키자


지방은 신축?

지방은 신축을 지을 수 있는 땅의 여력이 충분한 도시가 많으므로 신축택지가 지어지면 1등 생활권이 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입지가 크게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신축의 힘이 쎈것, 하지만 지방이라고 무조건 신축은 아니다. 광역시처럼 핵심지역 입지를 가진 구축은 신축 이상의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황별로 잘 판단하여 투자하자, 일단 신축, 준신축, 구축, 입지(상,하)을 떠나서 내 상황에 맞춰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를 하자


저평가, 저가치

싸고 전세금이 적게든다고 해서 무조건 투자하면 안된다.

가치가 있는 물건이 저평가 받고 있을때 투자하는 것이다.

가치의 기준을 수립하고 그 기준에 따라 물건을 분류하고 투자하자.(연식, 입지, 전세)


댓글


람지쓰
24. 02. 18. 21:22

크으 깔끔한 정리!! 부조장님 후기를 읽으면서 강의내용을 다시 복기하게 됩니다ㅎㅎㅎ 매일 성실하게 열심히 하시는 모습을 보여주셔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ㅎㅎ 앞으로도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