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모두에게 좋은 일이 되는 일을 추구하는
상생 투자자가 '될' 너나연 입니다 :)
2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의 두번째 강의는
게리롱 튜터님께서 준비해주셨습니다. 😊
실전 투자자이신 강사님들의 지역 분석이
꾹꾹 눌러담긴 강의를 이렇게 매주 들을 수 있다니
지방투자 기초반은 강의가 정말 혜자네요!
알찬 수업 내용을 따라가는 것 만으로도
한 주 한 주가 지날수록 앞마당이 자동 생성되는 듯한
그런 기분입니다.
기분 만은 아니라고 확신해요🥰
오늘도 어서 어서 후기로 남기며,
당장 이번 달부터 적용할 내용들을 정리해 두어야겠습니다.
그럼 후기를 시작할까요 ~🤍
2강에서 배운 지역은 C지역입니다.
C지역은 저에게 참 낯선 미지의 영역에 있는 곳인데요.
여행은 몇 번 가보았지만,
막상 해당 지역을 떠올리면 '음.. 투자로는 글쎄?'
몇몇 가까운 동료 분들이 C지역에서 위풍당당하게
1호기를 투자하시는 모습을 보면서도
'왜? 굳이.. 나라면 다른 앞마당을 찾을 것 같은데'
그야말로 저의 선입견으로
완벽하게 시야가 차단되어 있던 그런 도시였습니다.
그런 저에게 게리롱 튜터님의 '설득'이 시작되었는데요.
강의 시작 30분 만에 완벽히 '설득' 당한 것 같습니다... 🤭
가장 먼저,
OO시의 위상과 OO시가 지닌 가치에 대해
①인구(수요) ②가격의 흐름(시세) ③현재 시장 상황
세 가지의 근거를 들어 차근차근 설명해주셨는데요.
게리롱 튜터님의 설명을 듣다보니
'아..! 숫자는 이렇게 읽는 거구나!' 하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인구가 나타내는 숫자의 의미
과거 그래프의 흐름이 시사하는 의미
현재 시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수치'의 시그널
방대한 정보를 해석하는 능력이
아직 경험과 실력이 부족한 우리에게는 부족하기에
이렇게 강의를 듣고, 전문가의 관점을 어깨 너머로 배우며
조금씩 더욱 시야를 넓혀갈 수 있다는 게
강의를 수강 함에 있어서 지역을 한 곳 더 알아가는 것 이상으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로는 개별 단지에 대한 투자 범위 설정 입니다.
흔히 단지 VS 단지로 비교 평가를 할 때,
... 긴가? ... 민가? 하게 하는 헷갈리는 요소들이 있어요.
그 이유는 각 단지의 장점과 단점이 다르고,
해당 지역에 살고 있는
거주민들의 선호 요소 역시 각기 다르기 때문에
어떠한 결론이 공식처럼 딱 떨어지는 법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게리롱 튜터님의 명강의 덕분에
이제부터 C지역 에서 만큼은
보증서(=교재) 있는 투자 기준이 생긴 것 같습니다.
각 생활권 별로 나눈 가격 단위 단지들의 특성과
투자자라면, 어떤 단지들에 접근할 수 있는지
현재 C지역의 시장에서는 어떠한 투자 전략을 가져야 하는지
이제는 당장 C 지역으로 달려 갈 일만 남은 것 같아요 !
그물 설치하는 법부터 고기 잡는 법까지
하나 하나 다 알려주신 게리롱 튜터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
다음에 또 강의에서 뵙겠습니다 :)
댓글
나연님 글은 언제나 명쾌하고 가독성 있어서 좋아요~👍 게리롱 튜터님의 설득 성공이네요~ 아직 완강 못했지만 남은 강의 수강 시 포인트를 잡을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주한주 지날때마다 앞마당 자동생성되는느낌! 오 생각만으로 기분좋아집니다ㅎㅎ 나연님만의 생각으로 강의 정리로 또한번 복습하고 갑니다 수고많으셨어요 벌써 3일전에 올려주셨다니ㅠ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