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내집마련 중급반 - 한번의 선택으로 인생의 격차를 만드는 내집마련
용용맘맘맘, 너나위,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행빌입니다.
1강에서는 너나위님께서 내집마련의 큰 틀과 케이스들을 설명해주셨습니다.
저는 1강을 통해 당장 내 집 마련을 하기는 어려운 케이스이고
종잣돈을 더 모으거나 투자를 통해 자산을 늘려가야한다는 현실과 마주했습니다.
2강에서는 코코드림님께서 <내 집 마련 in 지방주요도시>,
새벽보기님께서 <내 집 마련 in 서울/수도권>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코크님의 강의는 지방완전정복 강의였습니다.
원초적 질문부터 광역시, 중소도시까지 모두 정리해주시는 강의였습니다.
1) 현재 지방의 시장 상황
지방에서 집을 산다고 하면 꼭 나오는 질문입니다.
지방에서는 내 집 마련을 해도 되나요?
지방에서는 어떤 곳에 내 집 마련을 해야 하나요?
결론은 해도 된다! 입니다.
다만, 현재 지방 상황을 고려하여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본다면 나의 필요성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인구, 입지, 선호도 등을 면밀하게 따져야 합니다.
이 때,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범위가 확 좁아졌습니다.
제가 계속 눈여겨봤던 곳은 범위에 속하지 않아 아쉬웠지만
실수하지 않고 미리 알게 되었고, 투자와 거주는 분리하면 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 지방 내집마련에 필요한 지역 분석
광역시부터 지방중소도시까지 지역 평균값, 랜드마크, 입주물량뿐만 아니라
지역별 핵심 지역, 눈여겨볼 단지까지 알려주셨습니다!
내집마련에서도 저평가가 중요하고(가치와 가격의 불일치!)
지역별로 편차가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임장을 했던 지역은 다시 만나서 반가웠고
아직 모르는 지역은 궁금해졌습니다.
정말 ㄷ시는 다시 한 번 싸다고 생각했습니다.
아직 ㄷ시에 앞마당이 하나도 없는데
기회가 된다면 올해 꼭 이 도시를 가보고 싶습니다.
3) 종잣돈별 내집마련 접근 방법
거주·보유 분리, 내집마련, 갈아타기의 케이스를
종잣돈별로 나누어서 자세히 설명해주셨습니다.
다시 한 번 느끼지만 ... 정말 현금을 얼마나 들고 있는가가
참 중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아직 월급여가 많지 않은 신혼부부인데다가
당분간 외벌이형태가 되기에 종잣돈을 어떻게 하면 더 모을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강의가 끝나고 가계부를 한 번 정리해보았습니다. ㅎㅎ
그리고 우리에게는 투자/거주 분리가 맞겠다고 생각하였고
지난 앞마당을 시세트래킹하면서
현재 내 상황에 맞고 저평가된 아파트에 투자를 해보자고 다짐했습니다!
여러 핑계로 시세트래킹을 멈추었는데
있는 앞마당부터 잘 관리해보자 생각했습니다.
늘어난 시간에 임장보고서 마무리도 하고 시세트래킹을 꾸준히 해보려고 합니다.
할 일!
1) 가용자금/예산 정리하기
2) 다시 시작하자, 시세트래킹
3) 마무리 못한 임장보고서 마무리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