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2. 저자 및 출판사 : 제임스 클리어 / 비지니스 북스
3. 읽은 날짜 : 2023.02.16
4. 총점 : 9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Part1. 아주 작은 습관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습관도복리 #시스템개선 #정체성
습관은 복리로 작용한다. 돈이 복리로 불어나듯이 습관도 반복되면서 그 결과가 곱절로 불어난다. 매일 1퍼센트씩 나아진다면 1년 후에는 약37배 성장해 있을 것. 반대로 1퍼센트씩 잘못을 계속해나가면 조금씩 쌓여 결과적으로 문제가 발생한다. 우리는 우리가 반복해서 했던 일의 결과를 얻는다. 그래서 매일 하는 일들 하나하나가 중요하다. 목표는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필요하지만, 결과에 차이가 생기는 건 지속적으로 작은 개선들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시행하는 것이다. 목표 달성은 일시적인 변화일 뿐이고,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습관을 변화시키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얻고 싶은 결과가 아니라 되고 싶은 사람(정체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먼저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결정하고, 작은 성공들로 스스로에게 증명하라.
[Part2. 분명해야 달라진다]
#시간과장소 #습관쌓기 #환경세팅
새로운 습관을 효율적으로 세우기 전에 먼저 현재의 습관을 파악해야 한다. 자신만의 습관점수표를 만들어보라.
자신이 무슨 행동을 하고 있는지 잘 인식하는 것부터 행동 변화 과정의 시작이다. 행동 변화의 첫 번째 법칙은 분명하게 만드는 것이다. [어떤 행동]을 [언제] [어디서]할지, 시간과 장소를 분명하게 정해라. 새로운 습관을 언제 어디서 수행할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 사람들은 그것을 지키는 경향이 더욱 크고, 무엇을 해야 할지 분명하지 않을 때 동기는 결여된다. 새로운 습관을 세우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이미 매일 하고 있는 현재의 습관이 무엇인지 파악한 다음(습관점수표) 그 위에 새로운 행동을 쌓아올리는 것이다. 습관 쌓기의 공식 = [현재의 습관]을 하고 나서 [새로운 습관]을 할 것이다. 어떤 습과을 삶의 한 부분으로 만들고 싶다면 그와 관련된 신호를 자주 인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라. 좋은 습관에 대한 신호들이 눈앞에 정확히 높여 있으면 좋은 결정을 내리기가 쉽다. 반대로 나쁜 습관은 습관을 유발하는 신호를 제거하거나, 신호에 노출되는 횟수를 줄여 보이지 않는 환경을 세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art3. 매력적이어야 달라진다]
#도파민 #유혹묶기 #내가원하는습관이일반적인집단
습관은 도파민이 주도하는 피드백 순환 작용이다. 도파민은 즐거운 경험을 할 때뿐만 아니라 즐거운 경험(보상)이 예상될 때도 분비된다. 행동하게 만드는 것은 보상에 대한 실현이 아니라 보상에 대한 예측이다. 해야하는 일을 하는 과정에서 보상을 얻을 수 있게 계획을 세우는 유혹묶기 전략으로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 [현재 습관]을 한 후에, [내게 필요한 습관]을 한다. [내게 필요한 습관]을 한 후에, [내가 원하는 습관]을 한다와 같이, 원하는 일과 해야하는 일을 짝지어서 규칙을 만들어라. 또한, 어떤 행동이 매력적으로 느껴지느냐는 자신이 속한 문화가 결정한다. 우리는 가까운 사람(가족과 친구), 다수(무리), 유력자(지위와 명성이 있는 사람)의 세 집단의 습관을 모방하는 경향이 있다. 당신이 원하는 행동이 일반적인 문화인 집단에 들어가라. 무리에 소속되는 것보다 더 동기를 지속시키는 것은 없다. 나쁜 습관을 버리고 싶다면 반대로 뒤집어, 부정적인 느낌과 연관시켜서 매력적이지 않은 것으로 만들어라.
[Part4. 쉬워야 달라진다]
#반복 #2분규칙 #습관의자동화
1만시간의 법칙은 틀렸다. 어떤 습관에 통달하려면 가장 중요한 건 '반복'이다. 습관은 반복된 행동을 통해 점차적으로 자동화되면서 만들어진다. 습관을 형성하는 데 들인 시간보다 그 습관을 실행한 횟수가 중요하다. 계획을 세울 때 시작을 가급적 쉽게 하라. 1분 명상, 한 페이지 독서 같이 무척 쉬운 습관 관문으로 그 일을 계속하기 수월하게 만들어라. 새로운 습관을 시작할 때 2분 이하로 하는 2분 규칙은 습관을 유지하게 만들어주는 간단한 방법이다. 반면에 나쁜 습관은 마찰을 증가시켜 하기 어렵게 만들고, 이용절차를 이용해 선택을 제거하라.
[Part5. 만족스럽게 만들어라]
#보상정책 #습관추적
즉시적인 보상이 있는 행복은 반복되고, 즉시적인 어려움이 있는 행동은 잘 하지 않게 된다. 인간의 뇌는 지연된 보상보다 즉시적인 보상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습관을 유지하려면 즉각적으로 성공했다는 느낌이 필요하다. 자신을 위해 보상 정책을 만들어라. 우리가 가장 큰 만족감을 느끼는 순간은 과정을 해내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다. 달력의 X표시, 매일 걸음 수 확인등과 같은 습관 추적은 우리가 습관을 이행했다는 걸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습관 추적은 어떤 일의 과정을 분명히 보여줌으로써 습관에 대한 만족감을 높인다. 습관 추척을 계속해서 흐름을 유지하고, 두번 이상은 습관을 거르지 않아야 한다. 한번 걸렀을 때 빨리 궤도로 돌아와, 실패의 연쇄 작용을 끊어야 한다. 누군가 자신을 지켜보는 것도 강한 동기가 될 수 있다.
[Part6. 최고의 습관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골디락스법칙 #숙고와복기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비결은 우리가 타고난 재능과 부합하는 행동을 습관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자신의 강점이 잘 발휘될 게임을 선택하고, 그런 게임을 찾을 수 없다면 스스로 만들어라. 도전이 관리할 수 있을 정도로만 어려울 때 동기는 최대가 된다. 어렵지만 관리 가능한 수준의 도전을 골디락스 법칙이라고 한다. 우리는 현재 능력에서 대략 4퍼센트 넘어가는 일을 할 때 몰입 상태에 돌입한다. 습관이 일상이 되면 흥미와 만족감이 줄어들어 지루해진다. 차이를 만들어내는 건 그 일이 지루해졌을 때도 계속해나가는 능력이다. 전문가는 스케줄을 꾸준히 따르고, 아마추어는 삶이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둔다. 습관은 우리를 이전의 사고와 행동에 가두기도 한다. 삶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습관을 체득하는 것만으로는 개선이 일어나지 않는다. 우리는 주기적으로 숙고와 복기를 통해 조정해나가야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정체성 중심의 습관. 습관을 어떻게 만드는지 보다 중요한건 내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내가 원하는 그 사람이 되려면 어떤 습관을 가져야하는지, 본질적인 부분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모든 행동은 내가 되고자 하는 사람에 대한 증거가 된다는 말이 가장 가슴에 남는다. 어떤 결과를 얻어내겠다는 목표 보다,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늘 초점을 두고, 성장을 위한 습관 계획을 세우자. 그리고 작은 성공을 쌓아나가면서 스스로에게 증명하기.
2. 시스템 개선과 환경세팅. 원씽을 읽으면서도 느낀거지만, 장기적의 발전은 시스템을 개선하고 환경을 세팅해야 일어난다. 자영업은 시간관리라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영역이라고 고정관념이 강하게 있었다. 투자활동을 하려면 집중할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 꼭 필요한데, 지금까지는 단순하게 잠과 일을 줄이면서 단기간의 목표만 간신히 달성하면서 겨우 해왔던 것 같다. 의지로 계속 해나갈 생각만 했었는데, 지금부터는 어렵더라도 시스템을 바꾸고 최적화된 환경을 만드는데 진짜 집중해보자. 아작습에서 결정일지라는 걸 배웠다. 왜 이렇게 결정했는지 이유랑 결과를 기록하고 조정해나가는건데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이렇게 저렇게 다 해보고, 장기적으로 꾸준히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을 찾자.
3. 숙고와 복기의 시간. 아는데 실천하지 못했던 것 중에 하나인데, 이번달부터 꼭 실천하자. 습관을 만드는것만으로 개선이 일어나지 않는다. 끊임없는 숙고와 복기를 통해 조정해나가야 한다. 주간 계획과 월간 계획 그리고 결정일지 작성하는 시간도 따로 확보해두기.
4. 장소와 시간, 습관 쌓기 공식. 행동으로 이어지기 어려웠던 이유가, 애매모호하게 목표를 설정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난 후에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최대한 쪼개서, 분명하게 계획을 세우자.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매주 일요일 밤 11시에 책상에 앉아서 주간 계획과 결정일지를 작성한 후에 잠자리에 든다.
2. 침대에 누우면 바로 김주환 교수님 명상을 켜고 핸드폰을 침대 아래 내려 놓는다.
3. 매일 아침 6시에 일어나서 7시까지 책상에 앉아서 (누워서 x) 독서를 한 후, 목실감을 작성하고 톡방에 원씽을 공유한다.
4. 30분알람 맞추기(현재의 습관) 두번이 울리면 하던 일을 멈추고 자리에서 일어나서 신전운동(새로운 습관)을 한다.
5. 영양제 먹기 습관추적표를 냉장고에 붙여두자.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34. 습관은 복리로 작용한다. 돈이 복기로 불어나듯이 습관도 반복되면서 그 결과가 곱절로 불어난다. 작은 습관들의 영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커진다. 매일 1퍼센트씩 나아진다면 1년 후에는 약 37배 성장해 있을 것이다.
P37. 결과는 그동안의 습관이 쌓인 것이다. 순자산은 그동안의 경제적 습관이 쌓인 결과다. 몸무게는 그동안의 식습관이 쌓인 결과이고, 지식은 그동안의 학습 습관이 쌓인 결과다. 방 안의 잡동사니들은 그동안의 청소 습관이 쌓인 결과다. 우리는 우리가 반복해서 했던 일의 결과를 얻는다.
P46. 목표 달성은 일시적 변화일 뿐이다.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우리 인생의 ‘한순간’을 변화시킬 뿐이다. 이는 ‘개선’과는 다르다. 우리는 결과를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 결과는 문제가 아니다. 진짜로 해야 할 일은 결과를 유발하는 시스템을 바꾸는 것이다. 결과 수준에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이는 임시방편일 뿐이다.
P52~P55. 지속하기 위해서는 정체성 중심의 습관을 세워야 한다. 이는 내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집중하는 데서 시작한다. 근본적인 믿음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습관을 바꾸기란 무척이나 어렵다. 새로운 목표와 계획을 세웠지만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변화하지 않았다면 말이다. 본질적인 동기가 최종적인 결과로 나타나는 것은 습관이 정체성의 일부가 될 때다.
P65. 습관은 자존감이다. 당신은 자신이 되고 싶은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가 ? 변화를 위한 첫 번째 걸음은 ‘무엇을’ 또는 ‘어떻게’가 아니라 ‘누구’다. 우리는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전다면 변화에 대한 탐색은 노 없이 보트를 타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우리는 자신에 대한 믿음을 변화시킬 힘을 가지고 있다. 정체성은 매 순간 바꾸고 선택할 수 있다. 오늘 선택한 습관으로 지금 내가 원하는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다.
p133. 올바른 행동을 하고 싶을 때마다 의지를 새로이 투입하지 말고 자신의 에너지를 환경을 최적화하는 데 더 써라. 이것이 자제력의 비밀이다. 좋은 습관을 불러오는 신호들을 분명하게 드러나게 하고, 나쁜 습관을 일으키는 신호들은 보이지 않게 하라.
P188. 동작은 뭔가를 했다는 느낌을 준다. 하지만 실제로는 뭔가를 하는 준비를 한 것뿐이다. 준비가 ‘미루기’의 또 다른 형태가 돼서는 안된다. 무엇이든 실제로 변화하는 게 중요하다. 우리는 한낱 준비만 하는 것만을 바라지 않는다. 연습을 바란다. 어떤 습관에 통달하려면 가장 중요한 건 ‘반복’이다. 그저 반복하라. 그러면 된다.
P298. 전문가는 스케줄을 꾸준히 따른다. 아마추어는 삶이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둔다. 전문가는 자신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알고 목표를 향해 꾸준히 작업해나간다. 아마추어는 삶에서 어떤 일이 급박하게 일어나면 신호에서 벗어난다.
P308. 결정일지 - 매주 그들이 한 주요 결정들 및 그 이유, 그렇게 해서 기대되는 결과들을 기록하는 것이다. 매달 혹은 매년 말에 그들은 자신이 한 결정이 옳았는지, 잘못된 것이었는지 확인하고 자신의 선택과 그 결과를 복기한다. 습관을 체득하는 것만으로는 개선이 일어나지 않는다. 계속해서 조정해나가야 한다. 숙고와 복기는 우리가 올바른 일에 시간을 쓰고, 그 과정에서 필요할 때마다 수정을 하게 해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