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1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97조 플라잉팬]

  • 24.02.20

적용점 가장 먼저.


2월부터 지방 앞마당 만들기 시작. 10개 앞마당 만들기 1차 목표.

투자금 모으기 시작.

지방 광역시(구단위) 및 중소도시 입주분양 모니터링 지속 업데이트.

1년에 한 채 로드맵 그려보기. (수익률 200% 가정)


가장 와닿았던 점은, 당연하게 투자의 로드맵을 그릴 수 있다는 것이다.

회사일에서는 수없이 많은 시나리오를 쓰고, 대안을 만들고 일정을 짜는데

왜 너무나 당연하게 투자에 대해서는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


강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 지방 투자의 특징 (A급은 5천-1억 투자금, B/C급 3-5천 투자금)

  1. 변동폭이 크므로 기회가 있다.
  2. 입주물량에 따라 역전세 리스크도 있다.
  3. 수도권에 비해 소액 투자금으로 투자 가능하며, 전세가 상승분으로 수익 실현 또는 재투자 가능하다.
  4. 수도권과 같은 상승폭은 아니나, 전세가 상승분 정도 기대는 가능하다.
  5. 입주물량 없는 곳, 소액투자가 관건이다.
  6. 지방에 거주하고 있지 않으므로 임장/물건관리/입주물량 등 체크에 노력 필요하다.


> 수도권 투자의 특징 (A급은 2억 이상 투자금, B급 1억 이상 투자금)

  1. 가격 상승폭 자체가 크다.
  2. 장기 보유시 가치가 상승한다.
  3. 지방 대비 투자금이 많이 소요되나 안정적이다.
  4. 지방투자 수익으로 보다 안정적인 수도권투자로 옮기는 것도 가능하다.
  5. 대신 수요 많은 입지 독점성 있는 지역을 택해야 한다.
  6. 전세수요가 많으므로 입주 물량 몰리지 않는 한 관리 용이하다.
  7. 변동의 호흡이 길기 때문에 장기 보유 필요하다.


> 지방 투자에서의 투자 지역 선정

  1. 전세가율 70% 이상
  2. 무조건 입주물량을 체크해야 한다
  3. 지방은 인구가 세력.

> 수도권 투자에서의 투자 지역 선정

  1. 전세가율 60% 이상 (1.5억 이내)
  2. 입지독점성, 즉 강남으로 1시간 내 접근 가능 입지
  3. 입주물량은 수요 범위 내로


** 투자 전 비교평가 필요: 랜드마크 아파트 연식별로 찾기--> 공통점 발견하여 입지 기준 도출하기 --> 그 기준으로 입지 중심 정하여 아파트 배치


> 투자의 로드맵

  1. 싸게 사면 오른다는 마음가짐, 가치있는 물건을 사면 자산으로 돌아온다.
  2. 시간들여 충분한 연습 시간 확보하고 최고의 의사결정으로 투자 수익률 극대화
  3. 5년 내 10억 이상!
  4. 1년에 한 채 로드맵


투자잘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방랑미쉘님의 실전 투자 이야기도 와닿았는데,

첫 투자, 첫 부동산 방문부터 인생의 여러 터닝 포인트까지 투자자로서의 회고가 의미 깊었다.


댓글


플라잉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