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함께하면 긍정이 세 배
그릿이 특기인 투자자
세배세니입니다.
우리의 영원한 고민,
"투자가 진짜 가능할 것 같은 59(20평대)
vs
좋지만 투자가 어려울 것 같은 84(30평대)"
매물임장 예약부터
늘 난관으로 다가오는데요
투자 과정에서 한 번씩
생각하게 되는
평형대에 대해
생각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20평대 특징
투자하기 위해서는,
각 평형대별 특징을
알아야합니다.
20평대의 경우
주 수요층이
싱글 or 신혼부부가 많습니다.
(+어린 아이를 둔 가족세대까지)
서울 수도권의 경우
20평대도 수요가 많습니다.
특히나 역세권의 경우
20평대의 수요가
오히려 더 많은 경우도 있죠!
하지만 지방의 경우
20평대의 선호도가
확실히 떨어집니다.
신혼부부도 30평대 전세에
거주하기도 하고,
아기 한 명만 있어도
30평대로 옮기고자 하는
수요가 커지기도 합니다.
특히 지방에서는
30평대보다 20평대의
매매 상승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30평대의 특징
30평대의 경우
주 수요층이 조금 달라집니다.
바로 아이들을 둔 가족세대
+학령기 자녀를 둔 가족세대
그렇다고 해서
30평대가 무조건
선호도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이 역시도, 지역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요
서울 수도권의 경우
아무리 30평대여도,
입지적 요소가 더 좋은
20평대가 더 수요가 높고
지방의 경우에는
어지간하면 30평대의
수요가 훨씬 높습니다.
아무래도 입지의 영향이
적기 때문이죠.
다만, 아무래도 20평대보다는
손바뀜이 조금 덜해
전세가 빠지는 것이
조금 덜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무엇이 우선순위?
그렇다면, 서울은
입지 중 큰 요소인
역세권이 답일까요?
이 두단지는,
비슷한 연식
똑같은 평형
같은 가격이었습니다.
한 단지는 역세권,
한 단지는 비역세권입니다.
역세권의 단지가
더 높은 가격으로
움직였을까요?
정답은 '아니오'입니다.
역세권이어도 가격상승이
더 되지 않았던 이유는
바로 '학군'이라는
입지였습니다.
수도권이라도
학군지인지,
교통의 요소가 중요한지
차이에 따라
가격이 움직입니다.
딱 잘라 수도권은 20평대
지방은 30평대가 아닌,
"이 곳에 어떤 사람이 왜 살까?"
"이 곳에 어떤 사람이 이사를 올까?"
라는 관점에서
임장을 다니며,
임보를 쓰며,
수요의 특징과
선호도를 확인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투자금에 매몰되어
20평대에 더 눈이 갔던적이
많았습니다.
투자금이 덜들어간다고
20평대만
지방은 30평대가 더 좋으니
30평대만
이런 프레임에 갇히지 마시고,
수요를 먼저 생각하고
투자금 대비 얼마나 얻을 수 있을지
잘 고민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1.평형대별 특징이 다름
-20평대 : 신혼부부 수요 多
서울 수도권은 수요 확실
매매 상승률 떨어짐
-30평대 : 지방에서 수요 多
전세가 잘 안움직임
2.서울에서는 역세권이 답?
학군지 vs 교통입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3. 20평대 30평대 무조건 나누지 않고
이 지역에 누가 올까? 누가 살까?
투자금 대비 얼마를 얻을 수 있을까?
생각해보기
잃지 않는 투자를 더불어
더 버는 투자까지 이어지는
투자자가 되시길
진심으로 응원드립니다!
댓글
세배세니님 글 감사합니다. 20평형이냐 30평형이냐가 아닌 그 지역의 수요에 맞게 투자하라는 말씀같습니다. 오늘 하루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