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본 것
말 그대로 보고, 깨닫고, 적용하는 것
> 비포 리딩 단계: 내가 원하는 것, 키워드, 얻고자 하는 것을 적어 보기
- 목차 읽으면서 관심 가는 페이지 먼저 접어놓기 (읽으면서 실제 필요한지 확인)
> 보다: 저자의 관점으로 읽기 1. 주제 2. 키워드 3. 인상적인 문장
- 책 속에 간단히 적어도 되고(본깨적으로 나눠서), 본격적으로는 노트에 적어야 한다.
> 깨닫다: 나의 관점으로 총체화된 하나를 만들기 1. 모티베이션 2. 롤모델 3. 지식
- 책 속에서 동기 발견하기(어떤 감동, 교훈이라도), 책의 주인공이나 저자를 롤모델로,
책의 내용을 총체화해서 내 체계로 끌어와서 정리하기 (그것이 곧 지식!)
> 적용하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적용할 것 정하기 1. 개선할 것 2. 아이디어 3. 액션플랜
> 본깨적 노트 쓰기
- 본깨적으로 나눠서 페이지 적고, 내용 등등
- 깨달은 것은 나의 이해와 해석, 적용할 것은 업무나 개인의 삶에서.
> 그 외 기술적 측면에서
- 손으로, 밑줄을 치며, 박스를 그리며 읽어라
- 책 속에 필요한 부분을 메모해라. (본 것, 깨달은 것)
- 수직적/수평적 병렬독서 / 저자 단위로 읽기(좋았다면)
- 속독은 기술이 아님 / 배경지식이 많으면 쉽고 빠르게 읽을 수 있음
- 추천도서 리스트, 읽어야 할 것 리스트는 하나에 정리하자 (적용 필요!)
깨달은 것
> 서두에 등장하는 독서를 통해 삶을 바꾼 사례들 —> 좀 더 영양가 있는 독서를 하고 싶다 생각
좋은 음식을 두고 씹어 삼켜 소화하지 않고 맛만 보고 버리는 독서를 하고 싶지 않다
> 저자도 독서를 통해 이렇게 삶을 바꾸고, 독서 강사까지 되지 않았는가.
나도 독서로 삶을 세우고, 더 나아가서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책을 쓰고 싶다.
> 막연하게만 생각했는데 독서도 좀 더 체계화할 필요가 있음
어떤 사람은 읽으면 바로 블로그에 정리하거나 메모를 남기는데 나는 그렇게 하지 않음
> 책의 내용이나 감동이 휘발되는 경우도 많았기에, 독서를 좀 더 체계적으로 하고 싶어짐
적용할 것
> 이 책을 읽고 적용할 것
- 독서노트 써 보기 : 휘발되지 않도록 관리
- 폴더로 저장해놓기
- 추천도서 또는 읽고 싶은 책 리스트 만들기 : 충동구매 아닌, 읽고 싶었던 책을 읽자.
(주말동안 할 것들)
> 독서를 우선, 내 글을 쓰기 위한 스터디로 생각하고 정리하자.
- 저술에 필요한 것들을 모아놓자.
- 책을 쓸 때 가장 큰 원천은 다른 책이 되기도 함.
- 온전히 인사이트만으로 가능할까. 책으로 인풋을 쌓자.
- 방법은 디지털로 할 지, 아날로그로 할 지 정하지 못 했음.
> 내 투자에도 적용해보자.
- 투자/자기계발에 대한 책 주 1권 읽기
- 업무/책 쓰기와 관련된 주제 책 주 1권 읽기
- 연 100권은 좀 무리일까? 일단 해보자. 필요한 것을 찾자.
- 그렇다며 나의 독서시간은? 업무 관련 책은 출근이나 점심시간 전후에 읽어도 괜찮음
- 그 외는 아침/저녁/주말시간. 최소 주에 10시간은 확보되어야 2권 가능
(3시간 읽기, 1시간 비포리딩, 1시간 본깨적 노트쓰기)
(사실은 가능!, 자기 전 1시간(주중), 주말 토/일 각각 3시간 확보 시 10시간 확보 가능.
- 주말 토/일은 역시 잠들기 전으로 하자. 주말에는 독서 각각 3시간 확보했는지 체크하자.
댓글
플라잉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