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 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본깨적
2. 저자 및 출판사: 박상배
3. 읽은 날짜: 2024.02.24
STEP 2. 책에서 본 것
저자의 핵심을 보기 위한 세가지
#SKI #본 것
Subject (주제)
Keyword(키워드) 제목, 목차, 중간제목
Impressive phrase (인상적인 구절)
마음에 와닿는 좋은 문장이 아니라
저자가 이야기 하려는 핵심 내용을 담은 문장
좀 더 깊은 깨달음을 위한 세가지
#MRK #깨달은 것
#본 것의 주체는 저자 깨달은 것의 주체는 나
Motivation(동기) 자극을 주고 마음을 움직이는 모든것
Role-model(역할모델) 책속에서 역할모델을 찾아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본다
Knowledge(지식) 어떤 대상에 대하여 배우거나 실천을 통해 알게 된 명확한 인식이나 이해
적용을 더 잘하기 위한 세가지
#KIA #적용할 것
Kaizen(개선) 조금씩 좋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변하는것
Idea(아이디어) 휘발성이 높은 아이디어를 책을 읽으면서 생각날 때마다 책 귀퉁이에 적어두고 다 읽은 후 본깨적 노트에 정리해둔다
Action plan(적용) 삶에 적용해 변화할 수 있도록 실천
STEP 3. 책에서 깨달은 것
1. 편하게 읽기만 해서는 책의 효용을 다 누릴 수 없다
2. 내 삶이 변하는데 독서가 도움이 되려면 본깨적 정리가 필요하다
3. 독서 뿐만 아니라 강의에서도 내용만 숙지할 것이 아니라 그걸 어떻게 적용할지 아이디어를 뽑아내야 한다
STEP 4. 책에서 적용할 점
1. 독서하면서 인덱스 활용하고 독서 후 본깨적 작성하기
2. 강의 듣고 복습하면서 실전 임장, 투자에 적용할 점 찾기
3. 1주일에 한권씩 꾸준히 독서하기
STEP 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23) 책을 읽고 변화하는 주체는 자기 자신이다. 결국 자신이 얼마나 노력하느냐에 따라 삶이 바뀔 수도, 바뀌지 않을 수도 있다.
(p. 68) 지금의 책 읽기 방법을 터득하기 전에는 아무리 책을 읽어도 그때뿐이었다. 금방 잊고, 다시 찾아보려고 하면 어느 책 어디에서 읽은 것인지 기억이 나지 않았다. 책을 읽고 잠시 마음속에 희망을 품다가도 변하지 않은 현실에 시달리다 보면 또다시 의기소침해지를 반복했다. 악순환의 고리는 '본깨적' 책읽기를 알고 난 후 깨졌다. 본깨적 책 읽기란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 그것을 나의 언어로 확대 재생산하여 깨닫고, 내 삶에 적용하는 책 읽기를 의미한다. 책을 읽었는데도 삶에 아무 변화가 없었던 것은 책을 제대로 읽지 못했거나 읽었어도 읽은 것으로만 끝냈기 때문이라는 걸 그제야 비로소 깨달았다.
(p.173) 각자의 경험과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을 이야기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생각이 확장된다. 혼자 있을 때는 전혀 떠올리지 못했던 이야기를 다른 사람을 통해 들으면서 생각이 유연해지고 생각의 울타리는 점점 넓어진다.
(p.201) 바인더는 단순히 일정을 기록해두는 다이어리가 아니다. 분명한 목표를 세우고 그에 따라 어떻게 시간을 쓸 것은가를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적극적인 시간 관리 시스템이다. 시간 관리 뿐만 아니라 꿈을 이루거나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역할도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