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STEP2. 책에서 본 것
70p
책을 읽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책에서 본 것이 무엇인지, 무엇을 깨달았는지 정리하고, 일상생활이나 업무에 적용할 만한 것이 있는지 고민해 보는 것이 본깨적 책 읽기의 핵심이다.
72p
본-저자의 관점에서 본 것
깨-나의 입장에서 깨달은 것
적-우리(개인,회사)입장에서 적용할 것
83p,84p
원래 사람은 망각의 동물이다.
어제 읽은 책을 오늘 기억하지 못한다고 자책할 필요가 없다.
에빙하우스의 연구에 의하면 사람은 지식을 습득한 후 10분이 지나면 바로 잊기 시작한다고 한다.
망각 속도가 무척 빨라 1시간이 지나면 50퍼센트를 잊고, 하루가 지나면 약 70퍼센트를 잊고, 한 달 뒤에는 약 80퍼센트 이상을 망각한다고 한다.
도망가려는 기억을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반복’이다.
다시 읽기를 네 번 반복하면 책 내용을 오래 기억할 수 있다. (1124 재독법 1일, 1주, 2,주 4주)
172p, 175
한 사람이 10권의 책을 읽는 것 보다 10명이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는 것이 더 낫다는 말이 있다.
키워드의 대부분이 일치한다면 저자가 말하고 싶은 핵심을 제대로 파악했다고 이해하면 되고, 차이가 있다면 저자가 아닌 나만의 잣대로 책을 보았다고 반성하면 된다.
각자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을 이야기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생각이 확장된다.
사람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서로의 나쁜 습관을 보고 배우는 경우도 많지만 적어도 자기 삶을 충실히, 열심히 살려고 하는 사람이라면 다른 사람의 좋은 모습을 보고 자극을 받고 용기를 얻는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 하나를 읽더라도 내용에 대한 핵심이 뭔지를 이해 해야하고, 내가 깨달은 것이 뭔지에 대한 고민과 그것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한사람이 10권 읽는 것 보다 10명이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는 것이 더 낫다는 말이 다시 한 번 공감이 된다.
조모임의 독서토론을 경험하지 못했더라면 책을 읽고 나만의 잣대로 판단했을 텐데 조모임을 통해서 여러 사람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생각을 확장할 수 있고, 배울 수 있는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아직은 책을 이해하는 과정 자체가 시간도 많이 걸리고, 제대로 파악한 것이 맞는건지도 모르겠지만 본깨적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지금보다는 좀 더 효율적으로 책을 읽을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한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것
1년에 30권을 독서 목표로 잡고, 한권당 하나의 메세지를 정해서 적용해 보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236p
시간은 누구에게나 평등하다. 누구에게나 똑같이 하루 24시간이 주어진다.
댓글
'한사람이 10권 읽는 것 보다 10명이 한 권의 책을 읽고 토론하는 것이 더 낫다' 형님과 88조와 함께 그런 경험을 할 수 있어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