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2강 유진아빠님의 강의는 투자자로서의 원칙(저환수원리),
투자자로서의 자세(해야할 행동과 하지 말아야 할 행동)에 대해 명확하게 정리해주셨다.
명확해서 머리로는 잘 이해할 수 있었지만, 이것을 실제 적용할 때에 흔들리지 않도록 항상 복기해야겠다.
내가 내집마련 했을 때, 주식투자로 어떤 종목을 매수 했을 때를 복기해보면 명확한 근거가 없었던 것 같다.
그래서 누군가 왜 그걸 샀냐고 물으면 확실하게 대답하지 못했다. 투자 결과는 역시나 처참했다.
그 당시에는 이것밖에 살 수 없을 것처럼 생각해서 영끌로 샀던 집은 내 눈엔 예쁘지만 다른 사람들이 보기엔 예쁜 집이 아니었다. 그게 내가 부동산투자에 관심을 갖고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한 계기이기도 하다.
주식투자 역시 마찬가지이다. 테마주를 매수하거나, 남들이 사는 것을 따라 사고 매도타이밍을 잘 잡지 못해서 약간의 수익을 보거나, 물렸다가 손절하기도 했다.
투자원칙을 기반으로 한 투자는 이유가 분명하다.
리스크까지 생각하고 투자하기 때문에 버틸 수 있다.
1 . 투자자의 투자 원칙 <저환수원리> : 원칙을 지키는 투자는 통찰력을 쌓는 과정
저평가: 가치(입지)를 비교하여 지금 가격이 싼 것을 산다.
환금성: 수요가 많은 곳에서 다수가 사고 싶은 물건을 산다.
수익성: 인풋(투자금)을 줄이고 아웃풋(수익률)을 늘린다.
수익성 판단기준(수익률, 전세가율, 타이밍, 투자금 기준 등)
원금보존: 내가 넣은 돈을 절대 지킨다.
하락장에서도 버틸 수 있는 투자하기.
리스크관리: 리스크는 감당 가능하고 리스크 대비 기대수익이 더 큰 투자를 한다.
리스크는 회피가 아닌 관리!
상승장, 하락장 등 시장 상황이 변해도 투자 원칙은 변하지 않는다.
명확한 비교 조건이 있다면 선택이 쉽다.
신축이 시간이 지나면 남는 것은 입지가치.
많은 지역을 임장해서 비교 평가군을 만들어야 함.
아는 지역과 단지가 많아지면 비교 평가도 쉬워짐.
아는 지역 내에서 1등 선택.
시장이 안 좋은 상황에서는 투자를 쉬어가는 것도 투자의 일부다.
가치 판단이 어렵고 잘 모르겠다면 투자하지 않으면 된다.
단, 저가치라고 생각한 물건도 그냥 넘어가지 말고 반드시 임장하고 공부해야함(복기).
2 . 실전 투자 프로세스
사전준비(+1) - 분위기 임장(+4) - 지역조사(+12) - 상세 임장(+17) - 후보물건 선정(+20) - 매물임장(+25) - 임보완성(+30) - 투자결정(+40)
사전준비~상세임장까지 가장 중요하고 공들여서 해야한다.
나중에 투자할 때는 후보물건 선정부터 작업한다.
3 . 투자자의 길을 걷게 된다면, 돈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투자경험이 중요하다는 점, 내가 번 돈을 관리하고 역경들을 극복하는 경험들. 소액투자로 경험을 늘려가는 것도 중요하다고 하셨다. 현재 내가 가진 종잣돈으로는 소액 지방투자부터 시작해볼 수 있다. 수도권을 먼저 시작하는 사람들보다 느리다고 생각하기 보다는 투자경험 횟수를 늘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야겠다.
배운 것을 실행에 옮기는 사람이 되자.
댓글
견작가님 그래도 내집이라는 자산을 갖고 있는 것은 언젠가 좋은 무기가 되는 거 같아요! 앞으로 맞이할 1호기는 투자기준에 맞는 걸로 들이시기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