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부동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복합적인 요소들이 다차원적으로 영향을 미침)
-통화량, 물가, 경제상황, 입지의 독점성 (장기적)
-금리, 입주 물량, 심리 (단기적)
10년 뒤 아파트 가격은 과연 오를까 안 오를까?
-1970년도 3인기준 월평균 가계 근로소득 28,180 > 2024년도 6,509,450 총 221배 상승
-1970년도 여의도 시범아파트 18평 213만원 > 2024년도 14억 총 700배 상승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 4위 규모의 경상수지 흑자 국가,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통화량 ↑
-> 통화량의 증가는 -> 곧 인플레이션 -> 자연히 물가 상승
아파트 가격 = 재료비 + 노무비 + 경비 + 토지가 + 이윤
아파트 가격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이 장기적으로 오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아파트 가격의 상승도 불가피
투자자의 가장 큰 리스크는 매매가 하락이 아닌 전세가 하락
그럼 전세가 하락은 왜 발생할까?
수도권의 공급은 서울+경기는 줄어들고, 인천만 예외적으로 좀 많은편.
그러나 전체적으로 공급량이 줄어들고 있고, 전년도 전세가가 많이 높았고, 금리는 떨어지는 추세
즉 기회가 오고있다.
잃지않는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리스크에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
전세가는 10년 중 3년 상승, 5년 보합, 2년 역전세 -> 시기를 완벽하게 맞추는 사람은 없다. 모든 걸 대비해야 함.
공급물량 체크 시에는 부동산 지인 사이트의 수요공급 탭 활용.
모바일은 호갱노노 많이 사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