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강의중 무릎,허리,어깨인가를 알고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어떤의미로 말씀하신걸까요?

23.09.15

내가 투자할 물건이 무릎인지,허리인지,어깨인지 판단하는게 중요하다고 말씀하셨는데


판단기준으로 심리와 투자할 지역의 몇년간 빠졌는지가


몇년간 빠졌는지에 관한 기준이 있나요?


예를들면 상승 전고점까지 내려왔거나, 3년이상 하락했거나, 고점에서 20~30%빠졌거나


정확한 숫자예상보단 이 정도면 어느정도 빠졌으니 무릎,어깨 허리를 얘기하신건가요?


댓글


Mr포마드creator badge
23. 09. 15. 13:36

안녕하세요 왕천님 강의에서 말씀주신 내용은 '내 단지의 적정 가치 대비 현재 가격이 얼마나 싼지'입니다 말씀처럼 일정한 수치로 20%면 허리, 30%면 무릎이라고 판단내리기는 어렵습니다 여러 지역들을 보시면서 공부해보시면 해당 단지가 얼마나 가치있는 단지인지 아시게 되고, 그 단지가 얼마정도 가격이어야 할지 감이 오시게 될 거에요 꾸준한 공부 응원합니다 ^^

시소입니다creator badge
23. 09. 15. 13:56

왕천님 안녕하세요 :) 지난 시장의 허리가 다음시장의 바닥. 허리 이하에 사면 최소한 잃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다! 라는 취지에서 무릎, 허리, 어깨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 궁금하신 상황처럼 가격대비 빠진 지표를 명확히 수치화 하긴 어렵지만. 아파트 단지별 시세 그래프 확인을 통해 상승과 하락곡선 사이의 <중간>지점이 되는 가격이 허리 정도이구나. 그렇다면 지금 투자시에 지난 곡선의 허리정도 위치한 가격보다 저렴하게 투자 할 수 있다면? 잃지 않을 확률이 높겠다 라는 개념을 가져가셨으면 합니다. 천님의 투자생활 응원 드립니다 :)

수수르creator badge
23. 09. 15. 15:15

안녕하세요 왕천님. 현재 투자물건이 싸다고 판단할 수 있는것이 전고점만으로 이야기 되는것은 아닙니다. 이 단지와 지역이 어느정도의 가치를 가졌는지를 알아야 하는데요. 그러려면 다른 생활권 또는 다른 지역과 비교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현재 내 투자후보가 싼지 비싼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전고점을 아예 안볼수는 없지만 100% 전고점만 볼 수는 없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앞마당이 많아지면 자연스레 비교가 되실테니 조급해하지마시고 한곳씩 아는지역을 늘려나가시기를 바랍니다..! 그때까지 화이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