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내마반초급 중급 완강했는데 거주분리(세끼고 매매)가 아직 잘 이해가 안가서요..ㅠㅠ

  • 24.03.24


안녕하세요.


2024년에 내집마련을 결심하고 작년 12월부터 부동산 기초, 내마반 기초/중급까지 완강하였습니다.

강의를 듣다보니 거주분리가 더 좋은 선택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세끼고 매매 프로세스가 잘 이해가 안가네요ㅠㅠ.


예를들어 매매 8억 / 전세 5억 / 매전차 3억 (종잣돈 3억)

  1. 세끼고 매매시 전세와 매매의 동시진행 계약으로 진행하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고 하셨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들어 매매를 먼저 진행하고 집 수리 후 세를 준다면 잔금시 전세금으로 받을 5억은 어떤 대출을 활용할 수 있나요? 이때 5억 주담대를 내서 매수하고 전세가 찾아지면 주담대를 상환하나요? (상환 수수료를 다 지불하고 몇달만에 상환하는건가요?)
  2. 세끼고 매수할 경우 전세자금 외에 종잣돈은 대출이 아니어야 한다고 배웠는데, 전세를 구하기 전에 3억 종잣돈, 5억 주담대로 진행 후 매수하고 모든 수리가 끝나고 전세를 찾는다면, 8억 매물에 5억 대출이 있는데 이 부분은 보통 세입자 입장에서 괜찮은가요?


감사합니다!!





월부 앱 설치하면 남겨주신 질문에 답변이 달리면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앱 추가 방법 : 공지사항 > 신규멤버필독 게시판을 참고하세요!

댓글


호재라이언creator badge
24. 03. 24. 13:44

안녕하세요. 수리를 위해서 잔금을 치지않고 할 수 있도록 매도인이나 임차인과 협의를 통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매도인에게 중도금을 일부만 지급하거나, 임차인과 수리조건으로 계약 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

하고캐
24. 03. 25. 16:50

1. 8억 물건에 종잣돈3억과 주담대5억으로 매수를 하신 뒤 전세 세입자를 구하시면 전세금을 받아 은행에 중도상환하는 프로세스로 일시적 주담대이용이므로 중도상환수수료가 발생하고, 카카오뱅크같은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 대출을 받으시는게 일반적으로 유리합니다. 2. 세입자가 대출이 크게 껴있는 집은 입주 하지 않을 뿐더러, 전세대출에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전세계약 잔금 시 근저당을 전부 말소한다라는 특약의 내용이 반드시 들어가게됩니다(부동산 사장님이 안내해주실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