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소액으로 돈버는 황금루트
자음과모음, 게리롱, 식빵파파, 제주바다

- 지방투자도 수도권 못지않다!
- 부동산 가격 = 땅+건물 이므로, 수도권에 비해 입지독점성이 작은 지방에서는
땅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작고, 건물의 가격은 감가상각에 따른 감소분으로 결국 물가상승속도를 이기지 못하니
저평가 시점에 매수하고 어느정도 수익률이 나오는 시점에 매도하는,
비교적 짧은 사이클 내에 팔아야 하는 담배꽁초 투자로만 생각했습니다.
- 허나 광역시의 경우 흔히 지방에서 중시하는 "쌔거" 뿐만아니라
구축임에도 살고싶어하는="입지특수성"이 존재하는 큰 시장이므로
입지 좋은 곳을 싸게 산다면 장기적으로 땅의 가치가 우상향하는 장기투자도 가능하다는 점을 깨달았습니다.
▷BM
- 지방 광역시마다 단지 선호도 요인의 "개별성"이 있음을 인지하고,
이 퍼즐을 맞추기 위한 임장 및 임보를 진행하자.
▷느낀점
- 제주바다님께선 "입지"라 할 수 있는 요인들이
"왜"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먼저 자세히 설명해주셨습니다.
- 특히 공급 부분에 대해선 역전세 리스크를 감당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만 고려하는지 알았었는데요,
많은 공급이 가격을 눌러 저평가를 만들고 투자기회로 이어질 수 있는점,
공급이 줄어들면서도 전세가가 올라 또한 투지기회로 이어질 수 있는점에서
절대적 저평가 시기에서는 어느때든 현장에서 답을 찾아 투자할 수 있겠구나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BM
- 지역마다 가중치가 다른 입지&선호도 형성과정을 이해하여 지역간 "개별성"을 파악하자!
▷느낀점
- 제주바다님은 각각 생활권 아파트마다 과거 성적, 현재 시세를 보여주시며
같은 가격이면? 같은 연식이면? 같은 고점이었는데 지금은 왜? 라며
같은 투자금이라면 과연 이것이 최선의 선택인지 고민하는 비교평가 과정을 알려주셨습니다.
- 기회가 왔을때 "같은"조건의 재료들을 더 많이, 제대로 알고 있다면
투자금이 있고 & 잃지않는다는 확신이 있을때 재료가 없는 사람보다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겠구나 생각하였습니다.
▷BM
- 붙었다고 사는 갭충이가 아니라 과연 이 아파트가 최선인가? 라고 반드시 따져 묻고
저평가 중 최선을 투자해야 한다!
- 저평가라면 조건을 만들어서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느낀점
- OO지역의 사이클을 바탕으로 실력있는 투자자의 "버팀"에 대해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습니다.
- 본질=가치 에 대한 확신이 없는 투자는 아무리 저평가여도 버티지 못해
수익으로 이어 질 수 없겠구나 느꼈습니다.
- 이를 위해선 다른 것들과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가치를 확인해야 하고,
비교평가를 위해선 아는 단지, 지역을 늘리기 위해 제대로 앞마당을 만들어 가야 겠구나 느꼈습니다.
▷BM
- 저평가라는 확신과 그 가치를 봤다면 내 투자를 믿고 버티는 투자를 하자!
댓글
우와~~ 크라임님 강의 후기 보니까 다시 공부가 되네요 +_+!! 완전 요약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