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OK맨 , 일단 하고 "놀쟝"입니다.
저는 이번 실전반이 처음인데요. 기초 강의를 들을 때마다 늘 생각했던 걱정이
바로 우리 모두 어려워하는 비교평가 부분이었습니다.
그리고 결론을 도출해내는 1등 뽑기....
어찌저찌 하고는 있는데 이게 맞는건지 확신이 들지도 않고, 어떠어떠한 생각의 흐름대로
오 ? 이 단지가 더 선호도가 높은것 같다!!! 라고 생각을 하고 검증을 하면 ....띠용~~~
또...틀렸네...내가 놓친게 뭘까..
이번 강의에서 식빵 파파님께서 아주 시원하게 알려주셨습니다.
아마...이제 비교평가 가능하겠죠? ㅎㅎㅎ
일단은 비교평가의 대 전제를 깔고 비슷한 놈들 끼리 비교를 해야 한다. 비싼데는 비싼데, 싼데는 싼데...
이미 이것부터 틀리니 비교가 될리가 없었습니다.
뭔가 홀린 듯 스무스 하게 튜터님께서 비교평가를 해주셨습니다.
A.B단지를 비교하시면서 어디가 더 좋죠?
튜터님께서 하시는 방식을 보면 너무나 쉽게 슥슥 하시니 저도 될것이라 생각했는데 쉽지는 않았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지역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역 내에서 어떤 수요가 있는지 파악하고 어느정도 선호도가 있는 단지인지 손품과 발품을 팔아 제대로 파악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우리가 임장을 하는것이죠.
임장 후 남기는 단지분석에 단지 선호도가 명확해야 합니다. 뭔가 저는 여태까지 단지에 대한 느낌과 설명을 나열
했지만... 그것을 비교평가를 하기 위한 기초 단계라고 생각하지 못하고 마냥 숙제처럼 하고 있지 않았나
생각 들었습니다.
장표 하나하나에 어떤 선호 요소가 있는지, 이 단지가 이 생활권에서 어느정도 선호하는 단지일지 가늠해가면서
단지분석 장표를 넣어야 되겠구나 생각했습니다.
멀게만 느껴졌던 비교평가...강의를 들으면서 와...이렇게 하는거구나. 뭔가 띠용~~
쉽지만 쉽지 않은 느낌이었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습득 할 때는 이런 방법으로 하는구나....하면서 실제로 제가 적용해 보면 어렵긴 했습니다.
하지만 틀리고 실수하고 그런 과정을 겪으면서 익혀나가면 되겠죠.
익숙해지고 성장할 것이라 의심하지 않습니다.
의사결정 과정에서 가격의 유리천장을 깨부수고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해야 합니다.
저는 실전반을 처음 시작할 때 튜터님께 여쭤봤습니다.
"튜터님,, 0억대는 부담스럽지 않은데, 0억대가 넘어가면 사실 부담스럽고 어렵습니다."
저 스스로 유리천장안에 갖혀 있었던 것이죠. 하지만 그 것을 깨지 않으면 같은 투자금으로 더 버는 투자는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최임 제출 하고 난 후 위에서 언급했던 내용들을 적용하지 못한 점이 후회되네요...
시세트래킹을 꾸준히 해야 투자자로서 좋은 기회를 선점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앞으로 빠지지 않고 앞마당을
만들 때 마다 해야 겠습니다. 사실 트래킹을 꾸준히 해오지 않아서 많이 뜨끔했었는데요. 여러 도시를 다니며
임보를 만들었다 하더라도 트래킹을 안하면 기회는 잡을 수 없으니...
시간을 내어 여태 만들지 못했던 곳을 전부 만들고 향후 지속적으로 업뎃 해 나가면서 기회를 잡아야 겠습니다.
트래킹에서 끝나지 않고, 단순 가격만 넣는 작업이 아니라 거기에 내 생각을 넣고, 지금 어떤 단지가 저평가 단지
라 생각하는지 적어보는 부분은 그대로 적용해야 겠습니다.
이번 강의는 마치 꽉 막힌 속을 뻥뻥 뚫어주는 시원한 강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약했던 부분을 배울 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이제 앞으로 비교평가의 달인이 되는 그날까지...ㅎㅎㅎㅎㅎ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