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실전준비반 3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55기 64조 자몽주스]

  • 24.04.24

안녕하세요 자몽주스입니다.

3강에서는 비교평가를 잘하기 위한 앞마당 개수별 단계를 설명해줍니다.


# 임보, 임장 훈련 -> 수평적 비교평가 -> 수직적 비교평가

초보자들은 강의를 통해 이론을 배우고, 직접 임보를 작성하고 임장을 나가면서 실습으로 익혀야 합니다.


현재의 저에게도 해당되는 단계입니다.


다음으로는 수평적 비교평가를 위해 같은 가치라면 어떤 것이 더 저렴할지 비교해봅니다.


가치라는 조건을 동일시 시키고 비교해보는 것이죠.


다음은 수직적 비교평가인데요. 이 때는 같은 가격이라면 어떤 것이 더 가치가 높은지를 비교해봅니다.


급지가 더 수직적으로 높을 수도 있고, 인구 규모가 수직적으로 더 높은 지역이 될 수도 있는 것이죠.


다음으로는 임장지역에서 투자할 아파트를 어떻게 선정하는지, 지역별로 우선순위를 배웁니다.


수도권이라면 직장과 교통이 학군보다도, 환경보다도 가장 중요합니다.


광역시는 입지독점성을 갖는 학군이 환경보다도 중요하구요.


마지막으로 지방은 학군보다도 편의시설, 택지, 균질성과 같은 환경이 가장 중요합니다.


워낙 신축 공급 물량이 많고, 땅의 가치보다는 건물의 가치가 높다보니 수도권이나 광역시보다도


연식을 비롯한 환경에 대한 기준을 높게 잡을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으로 지방, 수도권 투자사례를 통해서


생활권 분석, 시세 확인, 투자기준 확인, 투자후보 물건 추리기, 비교평가 과정으로 진행되는


투자의사결정 일련의 과정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시세 트래킹은 전수조사를 위한 표본조사이기 때문에,


랜드마크 단지, 생활권 대표 단지, 생활권 내 그룹별 대표단지를 뽑아서 구마다 15개씩


정해보아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매매계약 후 전세세팅 매뉴얼은 초보로서 투자하기 쉬운 전세 유형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설명부터, 전세세팅을 위한 플랜을 A부터 Z까지 정리해주셨습니다.


무방비한 상태로 맞닥뜨렸으면 혼란스러웠을 전세 세팅 과정을 여섯 가지 단계로 매뉴얼화할 수 있어


흐름이 잡히는 느낌이었습니다.


이 매매계약 후 매뉴얼은 일공일오 튜터님 말씀처럼 요약정리해두어 추후 실전에서 꼭 활용하여야겠습니다.




<BM할 것>

1. 투자사례 '시세 확인'에서 시세 지도를 통해 입지별로 가격이 어떻게 입혀지는지 한 눈에 볼 수 있어 좋았음.

이번 2주차 과제 시세 분석에선 못 했지만 다음 임보에선 해볼 것(시세조사+시세지도)


2. 임보 마무리 후 시세트래킹 단지 15개 선정!


댓글


자몽주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