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 : Why를 소통하는 도구 OKR
저자 및 출판사 : 장영학, 유병은
읽은 날짜 : 24.04.28
p.45 : OKR에서는 Objective가 목적을 의미하고 Key Result가 목표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Objective는 Key Result를 달성해야 하는 이유가 되며, Key Result는 Objective를 향하 가고 있다는 증거가 됩니다.
p.47 : 회사에서 우리는 '목표'에 대해서만 이야기하지 '목적'은 잊고 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혼자니 않기 위해', '평가를 잘 받기 위해', '그냥 직장인이니까 당연히'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생각만 하고, 그 일이 어떤 의미가 있는 건지 깊이 생각하지 않습니다. '당신 팀의 Objective, 목적은 무엇입니까?'에 대한 답을 문장으로 쓰라고 하면 당황해서 뭘 써야 할지 모르고, 다른 목표들을 아우르는 더 큰 목표를 쓰는 자리 정도로 여기는게 어쩌면 당연합니다.
Objective를 조직이 지향하는 목적지로 볼 수도 있습니다. "지금 우리 조직이 여기 있는데, 저기로 가고싶다." 여기서 '저기'를 뜻하는 게 바로 Objective 입니다. 그래서 OKR을 지도나 내비게이션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조직의 방향을 OKR이 알려주니까요. 궁극적인 Objective는 조직의 미션입니다.
p.53 : 기준이 되는 지표는 물론, '얼마나' 많이 사용해야 '더 많이' 써보게 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인지 목표 수준도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서로 합의하는 것이 바로 Key Result입니다. KR은 우리가 Objective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를 알 수 있는 측정 기준이자 피드백 지표입니다.
p.67 : '건강해진다'는 Objective가 있다면 Key Result로 어떤 걸 적으면 좋을까요? 많은 분이 '건강하려면 운동을 해야지'라는 생각으로 '헬스장 등록하기', '하루에 30분씩 걷기', '매일 물 1리터 마시기' 같은걸 먼저 떠올립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은 얼마나 건강해졌는지 측정하는 기준은 아니기 때문에 Key Result로 보기 어렵습니다. 대신 이처럼 Objective와 Key Result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을 Initialtive라고 부릅니다.
p.69 : 행동이 Initialtive이고, 되고자 하는 상태가 key Result입니다. Initiative는 행동이기 때문에 조사, 개발, 지원, 보고서 작성, 출시 같은 구체적인 동사로 끝나는 것이 좋습니다. 대기업 보고서에서 자주 쓰는 용어로 '고도화'라는 단어가 있는데 보통 구체적으로 무얼 해야 할지 잘 모를 때 '고도화'한다고 애매모호하게 얼버무리죠. 마찬가지로 무턱대고 뭔가를 '개선'하겠다고 하기 보다 개선하기 위해 실제로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p.77 : KR과 Initialtive를 구분하는 또 한 가지 이점은 유연성입니다. Objective는 조직이 바라봐야 할 '목적지'이고 그 측정 기준이 KR이므로 너무 자주 바꾸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Initiative는 가설입니다. 분기가 시작한 지 얼마 안 됐어도 이 행동으로 원하는 KR이 달성될 것 같지 않으면 빨리 가설을 폐기하고 다른 Initiative를 찾아야 합니다. 그런데 KR과 Initiative가 섞여 있다면 조정 가능한 것과 조정할 수 없는 것이 무엇인지 혼란스럽게 됩니다.
p.107 : 도전과 동기 부여를 위해 OKR은 Top-down과 Bottom-up의 균형을 잘 잡아야 합니다. 여기서 Top-down은, 밑도 끝도 없이 Objective를 정하는 게 아니라 상위 조직의 Objective를 보고, 거기에 우리는 어떻게 기여할지 Objective를 정하시라는 뜻입니다. 잘 정렬된 OKR은 Objective 문장만 따로 떼어서 읽어도 서로 기여하는 관계가 보여야 합니다. 상위 조직이ㅡ KR을 하위 조직의 Objective에 꽂아버리라는 뜻이 아닙니다.
1) Objective는 방향을 정렬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문구, Key Result(KR)는 Objective를 얼마나 달성했는지 정량적으로 따져볼 수 있는 기준
2) 통제할 수 있고 해버리면 되는 것은 Initiative. 행동의 결과로 얻어지는 것, 통제 불가능 한 것은 Key Result
3) 내가 달성하고 싶은 최종 목표와 비전 Objective > 목표 달성을 위한 지표 Key Result > 지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 Initiative
4) OKR이란 큰 목표와 그 것을 이루기 위한 작은 행동을 정렬하는 일이다. 책에서는 회사에서 공동의 목적을 위해 비전과 행동을 정렬하여 구성원들 간에 목적과 방향을 통일하려는 의도가 강하지만 개인에게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 OKR을 나눔글 양식에 따라 작성했는데 이런 의미까지 제대로 파악하고 하지 못했다.
투자에 대입해 보면 Objective로 투자를 통해 내가 이루고 싶은 목표를 세우고, Key Result로 그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 체크해 볼 수 있는 측정 기준을 만들고, 목표와 측정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 정하는 것이 Initialtive이다. 한 달 OKR을 작성할 때 이런 의미를 깊게 이해하지 못하고 했었는데,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실제로 나의 방향과 목적이 정렬된 OKR을 작성해서 목적에 맞게 작성해 봐야겠다.
댓글
깔끔하네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