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일을 내 습관으로 만드는 2가지 방법 (ft. 250권이 넘는 책을 읽으며) [진심을담아서]
안녕하세요, 매 순간 진심을 담고 싶은 진심을담아서입니다 ^^ 요 며칠 사이 날씨가 정말 따뜻해진 것 같아요. 좋은 날씨 많이 만끽하시며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 되시면 좋겠습니다. 오늘 투자 공부하며 필요한 것들이지만 막상 할 때마다 힘든 것들을 내 루틴으로 만드는 법에 대해서 적어볼까합니다. 아마 많은 분들께서 ‘책 읽기가 힘들어요.’ ‘시세를 꾸준히 보
부동산은 짜장면일까? 핸드폰일까?
안녕하세요. 대한민국 1호 초이스 헬퍼 & 부동산 가치평가사 '시크릿브라더'입니다. 오늘의 인사이트입니다. 해당 내용은 시크릿브라더 단톡방(시크릿브라더 부린이 구조방)에 공유된 내용을 편집하여 제공한 내용입니다 저는 최대한 균형된 시각을 유지하기 위해 하락론자들의 유튜브를 가끔씩 봅니다. 제 생각과 정반대인 경우가 많아서 공감이 잘 안되긴 하지만 그분들
사이트 하나 더 추가
사이트를 하나 더 추가 하려고 하면 도메인만 하나더 사서 서버는 기존 서버로 같이 사용하면 되는건가요?? 도메인(.com)도 강의에 보여지는 가격이랑 저한테 뜨는 가격이 다른데 .. 다른경우도 있나요?
[권유디]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세금과 부채의 진실)
1. 부채는 비과세이다. 그리고 부자들은 남들이 갚아주는 부채를 늘리며 자산을 형성한다. 많은 사람들이 매달 열심히 일해 받은 월급으로 미래를 준비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받는 그 월급은 이미 '근로소득세'라는 이름으로 상당 부분이 정부에 납부된 후의 돈입니다. 그 돈을 저축하거나 예금해봐도, 생기는 이자에서 다시 '이자소득세'를 떼고 난 후에야 우리가 사용
가난한 습관을 끊고, 부자의 길로 가기 위한 3가지 실천 방법
안녕하세요. 오지랖 때문에 한가할 수 없는 부동산 투자자 한가해보이입니다. “왜 돈이 모이지 않을까?” 고민하는 분들 많으시죠? 저 역시 예전엔 그렇게 살았습니다. 월급 받으면 며칠 만에 통장이 텅 비고, 카드값 막느라 다음 달도 겨우 버티고... 하지만, 습관이 문제라는 걸 깨닫고 삶이 달라졌습니다. 오늘은 제가 직접 실천하며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지속해
[너나위] 전세 실종 사건
얼마 전 이런 우연히 알고리즘에서 이런 뉴스를 봤다. - kbs 뉴스(2025.4.23) ※ 가급적 영상을 시청해보기 바란다 개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수도권에 전세 구하는 게 하늘의 별따기가 되고 있다. 2. 전세 상승기에 임대차법에 따른 갱신청구권이 늘어나며 기존 전세 물량이 잠기고 있으며 3. 조건부 전세자금 대출
다시 꺼내든 한 통의 편지, 그리고 매일매일 반복하는 다짐
안녕하세요. 오지랖 때문에 한가할 수 없는 부동산 투자자 (안)한가해보이입니다. 며칠 전, 아주 우연히 책상 서랍 속에 넣어두었던 편지 한 통을 다시 꺼내 읽게 되었습니다. 그 편지는 제가 '왜 이 일을 계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다시금 일깨워주는, 제게는 참 소중한 기억이 담긴 편지였습니다. 그날은 평범한 하루였습니다. 그런데 사무실 근처에서 한
‘세종으로 대통령실이..?’ 지금 세종 아파트를 사야할까?
안녕하세요. 내집마련과 행복한 노후를 돕는 오렌지하늘입니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기대감으로 세종의 집값이 오른다는 기사입니다. 이런 기사를 보게 되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예전의 저라면 이런 기사를 보며 ‘세종의 아파트 전망이 어떻게 되는걸까?' '집값 오를거같은데..지금이라도 사두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을 겁니다. 저는 호재가 있고 오를 것
"끝내 집 못 사는 사람 특징 5가지" 살지 말지 망설여지면 이렇게 따지세요.
안녕하세요. 양파링입니다. "이번에도 망설이다 놓쳤어요. 괜찮긴 했는데 혹시 더 좋은 매물이 나오지 않을까 고민하는 사이에 다른 분이 계약해버렸어요" 강의와 상담으로 만나는 분들께 자주 듣게 되는 이야기 입니다. 1년 가까이 네이버부동산을 들여다보고 주말마다 임장을 다니지만 여전히 내 집을 찾지 못하는 상황인거죠. 열심히 책 읽고, 강의듣고, 임장하고.
40대 부부가 상급지 갈아타기 알면서도 못하는 현실적인 이유…
“상급지로 가야하는 건 알겠는데…이 이자를 내면서까지?” 안녕하세요, 제주바다입니다. 최근 서울 중심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면서 갈아타기를 고민하시는 분들의 고민이 깊어졌습니다. 서울 중심의 가치가 더 좋은 곳이 더 빨리 많이 오르고, 사람들이 더 많이 찾는 다는 것을 2023부터 지금까지 쭉 지켜보고는 있지만 고민이 끝나질 않습니다. 2023년 지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