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커뮤니티
오리지널오리지널 정규부동산 기초소액 투자내집마련지역 분석실전 임장임장 보고서
부동산부동산 입문경매/공매청약/재개발세금/대출
재테크/주식주식/코인창업/부업재테크기초자기계발
코칭투자코칭매물코칭
돈 버는 독서 모임돈 버는 독서 모임

쏭알쓰

레벨

11
팔로워
31
작성한 글
28
댓글
3
배지
소개작성 및 활동팔로우
작성한 글
31
댓글단 글
27
저장한 글
52
배지
3
수강후기
쏭알쓰

실전준비반 1강 강의 후기 [실전준비반 51기 80조 쏭알쓰]

1.임장보고서 장수(양)에 대한 압박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2.제각각 개별적으로 이해되었던 부분들에 연결고리가 생겼고 맥락에 대해 이해도가 높아졌다. 3.같은 지역내에 단지별 비교평가는 가능할 것 같으나 여전히 지역적 비교평가는 앞마당의 정보량의 문제이므로 시간적인 투자가 더 필요한 부분이다. 4.현재 투자금이 빈약한 상태인 투자자에 대해 설명이 디테일하게

24.01.16|조회수 43
11
수강후기
쏭알쓰

실전준비반 1강 강의 후기[실전준비반 51기 80조 쏭알쓰]

1.월부들어 오기전 임장비슷한 동네 훑기 오래전부터 부동산과 돈에 대해 관심은 많았다. 유튜브 및 경제신문 통해 어렴풋이 이런거구나 하면서 겉핧기 식으로 배웠다. 아파트가 아닌 단독주택에 꽂혀 있어서 어떻게 집을 지을까? 토지는 어디에 가치가 있을까? 그것에만 온통 집중되어 있었다. 규제정책이 쏟어져 나오고 국토부 장관이 어느날 무서운 말들을 쏟아 내기 시

24.01.10|조회수 64
03
수강후기
쏭알쓰

열반스쿨 기초반 4강 강의후기[열반스쿨 기초반 69기 24조 쏭알쓰]

1.복기 -첫째 : 시장 전망에 대한 감정낭비 2017년 낡은 2층 빨간 벽돌 단독주택을 싼가격에 매수! 신축을 하지 않고 리모델링을 통한 증축을 선택했다. 증축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받게 되었다. 아주 싼 이자였다. 코로나를 겪고난 뒤 어느 순간부터 대출 이자 비용이 더블이 되었고 심리적인 부담이 오기 시작했다. 그때 부터 였던것 같다. 시장 전망,

24.01.01|조회수 35
11
아파트분석
쏭알쓰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초원7단지 부영아파트 수익률 분석보고서 < 열반스쿨기초반 69기 24조 쏭알쓰>

23.12.24|조회수 129
00
수강후기
쏭알쓰

열반스쿨기초반 69기 24조 쏭알쓰

*나에게 와 닿았던 점 이번 또한 나의 부동산에 대한 선입견과 겸손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아파트 자산을 대하는 나의 진중하고 겸손하지 못했던 가벼웠던 마음과 이른 월세 욕심으로 인한 자산를 취하는데 있어서의 생애 기간별 전략등이 너무 엉망임을 다시금 뼈아프게 다가오는 강의였다. 큰 나의 겸손하지 못한 점은 부자들의 마인드를 알려하지도 않으면서 나만의 고집과

23.12.24|조회수 27
00
수강후기
쏭알쓰

열반스쿨 기초반 2강 가의후기[열반스쿨 기초반 69기 24조 쏭알쓰]

* 과거 되돌아 보기 - 무지하게 아파트의 가치를 무시했다. (심약자로 다주택 포지션 포기 4채 중 2채 보유 / 2채 아파트를 단독주택으로 갈아타면서 보유하다 정리해버림: 다주택은 범죄다라는 말의 죄책감으로:너무 무지했음) - 주워들은 가벼운 정보로 큰 자금을 가볍게 여겼다. - 품지 말아야하는 부동산 아이들을 품었다.(서초 오피스텔 / 남편회사용 지산

23.12.17|조회수 33
00
비전보드
쏭알쓰

열반스쿨 기초반 69기 24조 쏭알

■1단계. 비전보드 이미지 (첨부파일 참조) ■2단계. 노후 자금 계산 1. 노후 생활 자금 : - 기대수명 100세 - 은퇴시기 62세 - 생활비 월 300만원 - 300만원 * 12개월 * 38년 2. 실거주 이주 비용(갈아타기) : - 서초구 아파트 20억 이상 3. 부모님 케어 및 건강 유지 비용 : - 부모님 케어 비용 300만원 - 가족 병원 비

23.12.08|조회수 67
011
수강후기
쏭알쓰

LED 의 E가 50대인 나에게 환한 빛이 되어 위안을 주었다

시간은 흘러 벌써 50대 초반 이상하다.... 정신없이 자산을 불린것 같은데 왜 나에겐 아직도 경제적 자유가 없지? 왜 매일 같이 불안하고 발 동동거리며 돈에 끌려다니는 것 같지? 많이 망설였습니다. 나의 돈은 항상 질량 보존의 법칙처럼 정해져 있었고 너무 아끼는 습관이 몸에 베여서~ 그때 당시 강의료가 비싸다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몇번 들을려다

23.12.07|조회수 160
52
  • 1
상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