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 | 인생은 순간이다. | |
저자 및 출판사 | 김성근 / 다신북스 | |
읽은 날짜 | 24.05.04~24.05.08 | |
핵심 키워드 3개 | 실패, 포기, 내일 | |
내 점수 | 10점 | |
1. 보고 깨닫다 | ||
페이지 | 보다 | 깨닫다 |
p25 | 내일이 있다는 것을 핑곗거리로 삼지 않았다. 내일이 있으니 오늘은 어떻게 되든 괜찮다는 마음가짐으로 사는게 아니라 오늘 해야 할 일을 하다 보면 어느새 내일이 와 있는 삶을 살고자 했다. | 나 또한 내일이 있다는 것을 무기로 오늘은 대충, 소중히 살지 않았던 적이 여러날 있었다. 오늘은 다시는 오지 않음을 알고 하루하루를 의미 있게 최선을 다해 살아야겠다고 다시금 다짐해 본다. |
p30 | 아까까지는 잘 되던 것이 힘들다 생각하기 시작하면 갑자기 힘들게 느껴진다. 한계란 그런 것이다. | 결국 한계는 내가 내 스스로가 만드는 것이다. 같은 상황이야도 마음 먹기 달렸고 그 마음 먹기에 따라 과정도 결과도 달라진다고 생각한다. 결국 하고자 하면 하는 것이 인간 아닐까. (다만 하고자 하면서 하는게 어려움...) |
53 | 아이디어가 나오면 이게 성공할까 실패하면 어쩌나 망설이지 말고 그것을 바로 실행에 옮겨라. 그런 사람들이 끝내는 이기게 되어있다. | 나 또한 무언가를 다짐하거나 결정하면 바로 행동으로 옮기는 스타일이다. 질질 끌다보면 부정적인 생각과 걱정이 들고 그러다 보면 결국 행동하지 못하는 나자신을 만난다. 일단 되던 안되던 안하는 것보다 늘 하는게 나았다. 작은 행동이라도 일단 해야 과정이 만들어지고 결과로 이어지는 게 아닐까. |
62 | 누구든 실패를 겪지만 포기하지만 않으면 기회는 온다. 설사 그 다음에 주어진 기회에서 또 실패하더라도 무언가를 배운다. 문제를 알고 고칠 수 있게 되며 프로세스를 얻는다. 포기하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한 이유다 | 너무 공감되는 말이다. 포기하기 않고 일단 하면 적어도 경험이라도 해 본 사람이 된다. 어쩌면 성공과 실패, 그 자체의 결과가 중요하다기 보다 그 실패도 겪어보고 포기 하지 않고 나아가는 과정 자체가 참 멋있고 소중한 것 같다. |
75 | 슬프든 가난하든 그속에서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느냐가 중요하다. 슬프다면 그걸 즐거움으로 바꿔나갈 수 있도록, 가난하면 가난함을 도리어 날 성장시킬 기회로 승화시킬 수 있도록. | 맞는 이야기다. 때로는 아니 어쩌면 우리에게 의지를 불러일으키고 열정을 갖게 하는 것은 행복한 미래보다 불행했던 과거라던지 슬픈 사연이 될때가 많다. 가난했다고 불행하다고 불평만 할 것이 아니라. 그러기 때문에 내가 지금 이렇게 하는 거지 라는 생각을 하니 그렇게 마음이 편해질 수 가 없다..,, |
87 | 이긴 것은 지나간 것 대비해야 하는 것은 내일의 것 그러니 다음은 무엇일까를 계속 고민해야 한다. 성공한 순간 과거를 버리고 그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다. | 참 이게 말이 쉽지 정말 어려운 것 같다. 성공한 순간을 즐기고 싶지 또다시 과정을 반복하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긴 사실은 이긴 그 순간부터 과거일이니 연연해 하지말고 더 높은 단계로 오르기 위한 과정을 생각해 봐야겠다. |
124 | 만족하는 순간 이미 낙오한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만족이란 곧 실패다. 나는 세상에서 제일 나쁜 것이 만족이라고 생각한다. | 너무 맞다. 어느정도~만 만족하고 스스로 한계를 그어버리고 결국 만족을 통해 더 하지 않는 내 모습을 발견했을때가 있었다. |
2. 벤치마킹 : 적용할 것 | ||
내용 | ||
FALSE | 매사에 오래갈 선택을 하기 | |
FALSE | 과거 복기, 미래 대비 | |
FALSE | 목표 매일 상기시키고 불편함 감수하기 | |
3. 이책에서 얻은 것 | ||
나의 생각 | ||
읽는 내내 손흥민 아버님의 모든 것은 기본에서 시작한다라는 책이 떠올랐다. 김성근 감독님만의 삶의 철학을 알게 되어 꽤 흥미로웠고 결국 분야, 종목은 다르지만 본질은 똑같고, 될놈될, 어떤 사람이 되는지 등 주옥 같은 내용들이 많아서 좋았다. 훅훅 읽기도 좋았고 중간 중간 뼈때리는 말들이 나 자신을 돌아보게 만드는 책이였다 |
댓글
아라이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