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내집마련 중급반 - 한번의 선택으로 인생의 격차를 만드는 내집마련
용용맘맘맘, 너나위,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자식에서 떳떳하고자 투자자의 길을 걷는 쿳쥐입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제가 생각하는 것이 맞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저는 경기 외곽의 구축에 실거주로 살고 있습니다.
처음 이사올 때 준신축의 블링블링함은 9년의 세월동안
없어지고 이제는 떠나고 싶기만 했어요.
그러던 차에 월부에서 지속한 시간이 1년이 넘어가고 우리는 실거주와 투자의 분리가 낫겠다는 판단을 했습니다.
저희는 실거주를 처분할 경우[ 종잣돈은 있으나/모을 수 있는 금액이 적은 경우]에 해당을 해서
반드시 거주/투자 분리에 해당을 하더라구요.
저의 생각과 방향이 맞음을 강의를 통해 알 수 있어서 감사했고,
또한 그 생각에 근거를 보충하여 확신을 가질 수 있어서 너무나 만족스러웠습니다.
"평수 넓혀서 하급지로 가는 거는 제발 하지 마세요."
전 이 부분을 세번 넘게 되감기해서 들었습니다.
제가 2016년 이 짓을 했습니다. 파란색이 지금 사는 34평, 빨간색이 상급지 25평입니다.
그리고 그 상급지는 지금 무려 리모델링을 진행중이구요.
2016년 이사를 했고, 그 때는 준신축의 깔끔함, 방3개 화장실2개, 계단식에 반했습니다.
살던 집이 복도식, 화장실1개, 지하주차장도 없는 곳이었거든요.
그 때 그냥 거기 매전차가 5천 정도였는데 사 놓고 지금 사는 곳에 전세 살면 되는 거였는데
그런 머리가 안돌아갔습니다.
그리고 나서 생각하니 저희 부모님들도 인생에서 부동산의 실수는 끊임없이 하고 계시더라구요.
대치동 집 팔고, 수지로 온 게 저희 시댁이십니다. 그러다 여차저차 숲세권 찾아 다시 이사하셨구요.
이번 강의를 들으며 확실히 깨달은 것이
버는 건 사실 월급쟁이라면 고만고만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축도 고만고만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집에 대한 선택이 부의 굉장히 큰 갈림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신혼의 제가 상급지를 떠나 와서 이제는 못들어가는 것처럼, 우리의 부모님이 숲세권을 찾아 오신 것처럼 말입니다.
(뭣이 중한디!!!) 중요한 것을 알고, 그 기준에 따라 자본주의 사회 대중의 기준에 따라 선택을 해야만 내가 노후에 자식에서 떳떳할 수 있음을 알았습니다.
같은 59년생 어머니들이 어디에 집을 사느냐에 따라 노년의 자산이 현저히 다른 것처럼
제가 아무리 직장 있고, 똑똑한 척 하고, 개미처럼 일해도 이런 잘못된 선택 한번만 더 하면
나도 그냥 개미, 자식도 개미, 심지어 짐 진 개미가 될 수 있다는 것을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에 대해, 더 좁혀 집에 대한 옳은 선택을 배웠습니다.
적어도 이번 강의를 통해 틀린 선택, 후퇴하는 선택을 하지 않을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갈아타기의 가장 페인포인트는 예산 안에서 가장 좋은 곳은 어디일까?를 모르는 것이예요."
완전 정곡을 찔렸지요.
다행히 지난 내마기를 통해 내가 가용할 수 있는 예산을 계산했기 때문에
이제 저는 가장 좋은 곳을 찾는 것만 남았습니다.
내 예산으로 가능한 서울은 00,00,00, 00입니다. 생각보다 너무 좋은 곳이어서 깜짝 놀랐습니다.
여기에 내가 집을 산다면 난 진짜 엄청 난 신분상승이겠구나. 서울에 집있는, 그것도 평균 이상 우수한 집을 가진 여자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주신 기준대로 리스트를 이 네 곳을 작성하고
[많이 떨어진 것 중 제일 ***이 높았던 곳, 내가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것]을 사려합니다.
기준이 명확하니 과제가 어렵지 않습니다. 눈에 불이 켜지게 되고, 작성한 리스트가 내 신주 단지가 되는 겁니다.
그리고 저는 걱정이 엄청 많은 ISTJ. 이런 저를 위해 임차살 집에 대한 솔루션도 얻었습니다. 임차 사는 집세 오르는 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 그리고 살 집을 구하는 것은 집을 사고 나서 하는 것이라는 것.
"사연 하나씩은 다 있어요. 설레임과 기대감을 가지고 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월부에 감사합니다. 너나위님에 감사합니다.
분명하고, 확실한 것은 더 벌진 못해도 망하지 않는 확실한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이 월부라는 곳이고
이 내마중에서는 내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더 벌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이라는 겁니다.
둘째 수면조끼를 헌옷수거함에서 주워와 입혔던 2022년의 겨울의 그 날, 제가 투자 공부를 시작한 그 겨울.
너나위님의 말씀대로 이제는 제 하루하루에 설레임과 기대감이 생겼습니다.
'최소한 늙어서 자식한테 손벌리진 않을 수 있겠다.'
'나도 서울에 아파트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 상위 20% 해볼 수 있겠다.'
'매일 남만 부러워하는게 아니라 남도 나를 부러워할 수 있겠다.'
이런 꿈으로, 목적으로 하루를 살 수 있어 감사하고, 하루를 모아 인생의 설레임과 기대감을 만들 수 있도록
2024년 최선을 다해 결과를 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