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4월에 회사 행사가 많아 강의를 한달쉬고 5월 첫 지투기를 들었다.
내 느낌에는 겨우 한달을 건너 뛰었다 생각했는데 그한달이 '참 길고 많은 시간이었구나'라는걸 느꼈다.
작년 12월부터 매월 강의를 하나씩은 반드시 듣겠다고 했는데 결국 4월은 내 힘듦이 나의 계획을
이겨버려 흐지부지 의미없는 4월을 보내버린거 같아 지나간 시간이 많이 아까웠다.
그러나, 5월 다시 지투반 강의를 들으면서 다시한번 내 목표를 향한 의지를 다져본다.
8시간의 긴 강의~~!! 듣는 나도 쉽지는 않았지만 열심히 강의하는 제주바다님을 보니
강사님들의 그 에너지가 진정 어디서 나오는지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알거 같았다.
서울투자 기초반도 임장도 제대로 못가고 그래서 지투반을 신청할때 엄청 고민했는데
역시 시작이 반이라고 하고자 하는 의지만 있다면 지역이 어디인지가 상관이 없다는걸
깨닫게 되었다.
제주바다님 강의는 대전지역 분석이었는데 이번에 지투반 우리조는 임장지역이 천안 서북구지역이다.
다음주 일요일 천안아산역 기차표를 미리 예매해 놓았는데 이번 임장은 좀 설렌다. 예전처럼 임장을 하고
임보를 작성하는게 아니고 임보를 쓰고 임장을 하는거라 내가 작성한 임보를 나침반처럼 보고 가는거라
현장을 본다는 설레임이 더 큰거 같다. ㅎ
1.지방투자기준
1)인구가 100만이상인 광역시와 인구 30만이상인 소도시 위주로 투자
2)환금성기준에 맞는 아파트에 투자
-4층이상 계단식 아파트,
3)지방 투자의 핵심은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건지? 갖고 싶은집인지가 명확해야됨
-인구수:절대적 수요(인구수가 많은곳 우선투자)
-입지 : 서울 수도권과 달리 교통보다는 학군,환경,직장,교통이 중요
-연식 : 신축을 선호(신축을 따라 이동)
-결론 : 지방투자는 선호도(입지+상품성)가 높다
직장,학군,교통,환경이 좋은곳에 신축택지
2.광역시/중소도시 비교
-직장 : 지방광역시 - 수도권_중소도시성격
중소도시 - 도시 외곽에 공장
-학군 : 지방에서 학군은 땅의 가치를 만드는 중요한 요소(부산,대구,대전,광주,울산광역시)
중소도시는 학군보다는 택지나 혁신도시 신축을 더 선호
-환경 : 지방은 백화점과 마트가 지역의 거주매력도를 높임
백화점 개수와 매출액이 높을수록 집값 구매여력이 높은 사람들이 많이 사는 지역
새아파트가 많은 택지,신도시 : 백화점 마트가 부족하더라도 신규택지나 브랜드 신축이 많은곳은
좋은 환경으로 선호도 높음
3.대전 : 일자리도 많고 소득수준도 높고 거주매력도가 높은지역
-실수요 인구가 많이 모인곳이 사람들이 선호하고 좋아하는곳 (결국 집을 사야 하는 인구가 중요)
-6개구중 실질수요인 30대~40대 인구가 많이 모인곳이 유성구,서구
4.유성구,서구
-대전 종사자수의 약 60%가 서구,유성구에 몰려있음
-소득도 높고 양질의 일자리 집중
-학원가 또한 대전에 절반 이상이 서구와 유성구에 집중
-입지1등 : 양질의 일자리,고소득,학군지,택지,지하철이 의미있는 지역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곳
5.지방 광역시 및 중소도시 투자시 유의점
-단시분석을 해야된다. 구별로 구안에 랜드마크 아파트를 중심으로 단지분석을 하고 구별
비교해야 투자 우선순위를 정할수 있다.
결론 : 서울 수도권 투자도 그렇지만 지방투자는 사람들이 좋아하고 선호하는곳이 더욱더 뚜렷한것 같다.
입지조건중 교통보다는 학군과 환경과 상품성에 대한 선호도가 명확한것 같음으로 그걸 중점적으로
해서 입지분석을 하고 우선순위를 매기며, 도시 하나만 보지말고 다시 지역의 중소도시와 비슷한 입지
수준의 단지끼리 비교분석도 반드시 필요한듯하다.
댓글
운이좋은자 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