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지방투자기초반 19기 81조 건베]

  • 24.05.13

안녕하세요

건물주 베짱이

"건베"입니다.


지방 투자 기초반 1주차 강의는

제주 바다님께서 진행해 주셨습니다.


강의 러닝 타임만 무려

"7시간 43분"


제주 바다님의 강의에는

강의 내용 뿐만 아니라

실전 투자 시 꿀팁과

기초반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심화? 내용까지!!

(저는 아직 부족해서...심화 내용은 한 번에 딱! 깨닫지는 못했지만..ㅜㅜ)


강의 내내 하나라도 더 알려주시려는

제주 바다님의 열정이 느껴졌고,

하나라도 더 배운다는 마음으로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ㅎㅎ


서론이 길어졌네요...

지방 투자 기초반 1주차

강의 후기 시작합니다~~~


지방 투자에 대한 고민 Top3


1.가치

지방...진짜 사도 되는걸까...?

=> 각 지역별 수요 규모 고려하여 투자한다면

지방도 시세 차익 투자 가능!!


2.환금성

나중에 매도 안되면 어떡하지...?

=> 환금성 기준에 맞는 아파트에 투자하자!!


3.효율

돈 쓰고, 시간 쓰며 지방까지 투자...맞는걸까?

=> 공부하고 투자해서 쓴 돈 보다

더 많이 깎고, 더 많이 수익 내면 된다!!


공부해서 투자하면

수익과 실력을 얻는다.

포기하면 아무 것도 없다

-제주 바다-


지방 투자 핵심

집 값의 핵심 = 수요

그렇다면 수요의 판단은?


첫 번째, 인구

인구는 절대적 수요의 요소로

인구가 많아지면 수요도 많아진다

(당연하지만 핵심!!)


두 번째, 입지

입지는 상대적 수요 요소

지역에 따라 고려 요소가 다르니

지역 개별적 선호도 확인


세 번째, 상품성

상품성도 상대적 수요 요소이며

아파트의 연식, 브랜드, 택지 규모 등을 고려


입지 + 상품성 = 선호도

선호도가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지방 투자를 좌우한다

선호도 꼭꼭 기억해야해!!



지방의 입지 평가

지방은 입지 평가 요소는

차이가 없었지만

각 요소들의 가중치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인구 >>직장 > 학군 > 환경 > 공급 > 교통


인구는

시장 소화 물량을 좌우

(하지만 인구 많다고 "무조건 좋다"는 아님)


직장은

수요를 끌어들이는 요소

하지만 직장이 적다고

그 지역이 돈을 못버는 것이 아니다



학군은

"반드시 그 지역에 살아야 해"를

만드는 요소

(지역 내 대안이 없을수록 더더욱)

이로 인해 학군지의 구축도 수요가 있음


환경은

정량적으로 백화점 개수

정성적으로 택지, 신도시 등을 고려

백화점 개수로 그 지역의

소비력 (구매력) 확인 가능

그리고 사람들은 되도록이면

신축을 선호함


공급은

매수 시점, 보유 시점, 매도 시점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매매가&전세가 모두에 영향을 미치니

무조건 확인 후 의사 결정


교통은

지역에 따라 고려 여부 다르다

도로 교통 혼잡도, 출퇴근 시간 등에 따라

의미 있고 없고가 달라진다


마지막으로

실력있는 투자자라면?

본질(가치)에 집중하고

황금 같은 투자 찬스가 왔다고

판단되면 투자 해야한다


좋은 강의를 해주신

제주 바다님 감사합니다~!!


댓글


건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