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기초반 1주차 강의에서 제주바다님의 'A지역 지역분석'을 통해 지방투자의 기준과 투자방법에 대해서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작년에는 광역시 임장을 주로 하다가 올해부터 지방소도시 임장을 하고 있었는데, 같은 지방이지만 광역시와 지방소도시간 투자기준 차이를 구분하면서 비교평가하는게 솔직히 어려웠는데, 이번에 제주바다님 강의를 통해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광역시와 지방소도시는 연식, 브랜드, 규모가 큰 택지 등 상품성이 선호도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은 동일합니다.
수도권보다 인구가 적고 몇몇 광역시를 제외하고는 지역 내 이동시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새아파트, 좀 더 쾌적한 환경에서 거주하기를 선호합니다. 그런면 '좋은 브랜드에 세대수 많은 새아파트만 찾아서 투자하면 되는거 아니야?'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광역시와 지방소도시는 '입지' 라는 측면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지방에서 입지가 있는 땅은 대부분 '학군지'가 많은데요. 학군지는 오랜시간에 걸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구축택지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지방투자닌깐 신축이 최고야하는 잘못된 선택을 하게 되면 광역시 아파트 투자시에 입지가 있는 생활권의 구축아파트가 아닌 입지가 없는 동네의 신축아파트를 투자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광역시 내에 입지가치가 큰 생활권의 구축단지를 입지가 없는 생활권의 신축단지를 더 좋아하기때문에 나중에 돌이켜봤을 때 아쉬운 투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광역시 투자에는 여기가 '입지'가 있는 곳인지 생각해보고 같은 가격이라면 입지가 있는 구축아파트단지를 먼저 투자대상으로 선정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단지별 비교평가시에 전고점을 이용하여 대략적이지만 단지의 가치를 가늠하여 평가하시는 것을 보고 저도 한번 적용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M. 광역시와 지방도시간의 '입지중요성' 의 차이를 숙지하고, 아파트 전고점을 이용하여 단지별 비교평가에 참고해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