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최고의 변화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2. 저자 및 출판사: 제임스 클리어
3. 읽은 날짜: 2023.09.25
4. 총점 (10점 만점): 10점/ 8점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1. 목표 따윈 쓰레기통에 던져버리기
#시스템구축 #결과값 #과정구축
한번 하고 마는 실행은 의미가 없다. 매일 계속 할 수 있는 아주 작은 것을 해야만 결과가 바뀐다.
매일 할 수 있는 작은 습관들을 시스템화 하여 반복 하다 보면 결과는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이다
독서를 과제 있을 때만 읽지 말고 평상시에 최소한의 페이지라도 매일 읽는 시스템과 환경을 만든다면 책을 놓는 일은 없을 것 같다.
[Chapter11. 1만 시간의 법칙은 틀렸다
#동작#실행#준비 #미루기 #반복
나는 그동안 동작이 내가 뭔 가를 행동(=실행)했다고 믿고 있었다. 책을 읽으며 느낀 것은 한 게 아니고 그동안 준비만 열심히 한 것 같다. 준비를 열심히 하다보니 지쳐서 실행에 가보지도 못하고 미뤄 두었던 것들이 수 없이 스쳐 지나간다.
실제 행하는 실행을 반복해서 결과를 만들어내자.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의 차이라고 말씀하신게 생각났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한번에 확 변화 되는 것은 없다. 서서히 조금씩 행동 하다 보면 변해 있다는 것이다
나의 10년 후 20년후 의 모습은 내가 매일 조금씩 어떤 습관을 가지고 행동 했느냐에 따라 충분히 달라질 수있다
습관적 선택이 나의 인생을 바꾼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36 불행이도 변화는 느리게 일어난다. 우리는 곧 나쁜습관으로 돌아간다.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뤄도 대게는 제시간에 끝마치게 된다. 결심은 잊히기 쉽다.
P.37 일상의 습관들이 아주 조금만 바뀌어도 우리의 인생은 전혀 다른 곳으로 나아갈 수 있다. 1% 나아지거나 나빠지는건 그 순간에는 큰 의미가 없어 보이지만 그런 순간들이 평생 쌓여 모인다면 이 는 내가 어떤 사람이 되어 있을지, 어떤 사람이 될 수 있을 지의 차이를 결정하게 된다. 성공은 일상적인 습관의 결과다. 우리의 삶은 한순간의 변화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지금 당장 어떤 방법이 성공적이든 성공적이지 않든 그것이 중요하진 않다. 중요한 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습관이 성공으로 가는 경로에 있느냐는 것이다. 현재 일어난 결과보다 지금 어디에 서 있느냐가 훨씬 더 중요하다.
결과는 그동안의 습관이 쌓인 것이다. 순 자산은 그동안의 경제적 습관이 쌓인 결과다. 몸무게는 그동안의 식습관이 쌓인 결과이고, 지식은 그동안의 학습 습관이 쌓인 결과다. 방 안의 잡동사니들은 그동안의 청소 습관이 쌓인 결과다.
우리는 우리가 반복해서 했던 일의 결과를 얻는다.
P.39 시간은 성공과 실패 사이의 간격을 벌려 놓는다. 우리가 어디에 시간을 들였든 그것은 복리로 증가한다.
좋은 습관은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들지만 나쁜 습관은 시간을 적으로 만든다.
P43 결과에 차이가 생긴 건 지속적으로 작은 개선들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시행한 것, 그뿐이다
P.46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우리 인생의 '한 순간'을 변화 시킬 뿐이다. 이는 '개선'과는 다르다. 우리는 결과를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 결과는 문제가 아니다. 진짜로 해야 할 일은 결과를 유발하는 시스템을 바꾸는 것이다.
영원히 개선하고자 한다면 결과가 아니라 시스템 단계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입력값을 고쳐야 결과 값이 바뀐다.
P48 장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목표 설정보다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개선하고 발전해 나가는 순환고리를 만드는 것이다. 즉, '과정'에 전념하는 것이 '발전'을 결정한다.
P48 습관을 바꾸기가 어렵다면 우리 자신이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우리의 시스템이다. 나쁜 습관은 그 자체로 계속 반복되는데, 이는 우리가 변화하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라 변화할 수 없는 나쁜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단순히 과거의 습관들이 아니라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을 강조하고 싶다. 전체 시스템의 부분인 작은 습관들 말이다.
P61 습관은 시간과 함께 그 영향력이 더욱 강화된다. 즉, 습관은 정체성을 형성하는 가장 큰 증거가 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습관을 세운다는 것은 자기 자신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P66 오늘 선택한 습관으로 지금 내가 원하는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다. 모든 행동은 자신이 되고자 하는 사람에 관한 증거가 된다. 습관은 어떤 사람이 '되는'일이다.
P96 아직도 어떤 습관에 대해 평가하기 어렵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보자. 이 행동은 내가 바라는 사람이 될 수 있게 하는가? 이 습관은 내가 원하는 정체성을 쌓아나가는 한 표가 되는가, 위배되는 한 표가 되는가?
P103 습관에 시간과 장소를 부여하라. 시간과 장소를 명확히 제시하라(ex.오전 6시에 거실에서 스트레칭을 할 것이다)
P105 새로운 습관을 세우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이미 매일 하고 있는 현재의 습관이 무엇인지 파악한 다음 그 위에 새로운 행동을 쌓아 올리는 것이다. 이것이 '습관 쌓기'다. 습관 쌓기는 특별한 형태의 실행 의도다. 현재 습관에 짝 짓는 것이다.
P116 행동은 사람과 그들을 둘러싼 환경 간의 함수 관계다
P185 최선은 '선'의 적이다. 이 말은 동작과 실행 사이의 차이를 말해준다. 동작은 계획을 세우고 전략을 확립하고 배우는 것이다. 좋은 일이지만 결과를 만들어내지는 않는다. 반대로 실행은 행위로서 결과를 도출한다.
P188 동작은 뭔 가를 했다는 느낌을 준다. 하지만 실제로는 뭔 가를 하는 준비를 한 것 뿐이다. 준비가 '미루기'의 또 다른 형태가 돼서는 안 된다. 무엇이든 실제로 변화하는 게 중요하다.
어떤 습관에 통달하려면 가장 중요한 건 '반복'이다. 여기서 세번째 법칙이 도출된다. 그저 반복하라.
P192 '새로운 습관을 만들려면 몇 번이나 그 행동을 해야 할까요? 중요한 것은 행동을 수행하는 비율이다.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은 횟수다. 새로운 습관 역시 그 만큼의 반복이 필요하다.
P211 극히 적은 습관적 선택들이 우리가 갈 길을 결정한다. 이런 선택들이 쌓이고, 그 하나하나가 다음에 어떻게 시간을 보낼지에 대한 궤적을 만들어낸다. 습관은 시작점이지, 종착점이 아니다. 습관은 택시를 타는 것이지, 체육관에서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P211 '새로운 습관을 시작할 때 그 일을 2분 이하로 하라'는 것이다.
'책을 읽어야지'는 '한 페이지를 읽어야지' 로 바꾼다.
'오늘 요가를 해야지' 는 '요가 매트를 깔아야지' 로 바꾼다
'공부를 해야지'는 '''노트를 펼처야지 로 바꾼다
아침 조깅을 5킬로미터 뛰어야지'는 '운동화 끈을 묶어야지' 로 바꾼다
P217 2분규칙 = 습관의 첫시작. 습관쌓기 + 습관추적(기록) / 습관 '절대로 두번은 거르지 않는다'
P295 성공의 가장 큰 위협은 실패가 아니라 지루함이다. 습관이 지루해지는 이유는 더 이상 희열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P298 전문가는 스케쥴을 꾸준히 따른다. 아마추어는 삶이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둔다. 전문가는 자신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알고 목표를 향해 꾸준히 작업해나간다. 아마추어는 삶에서 어떤 일이 급박하게 이러나면 진로에서 벗어난다.
P302 한 가지 습관에 숙련되면 그 일에서 다시 노력해야 할 부분으로 되돌아가서 다음 습관을 구축하기 시작해야 한다
습관이 강력하기는 해도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시간이 지나도 그 일을 꾸준히 해서 숙달 되고 더 나아지는 방법이다.
어떤 기술을 터득했다고 느끼는 바로 그 순간, 그 일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고 느끼고 편안해지기 시작한 그 순간에 우리는 안주하게 된다. 그러면 해결책은 무엇일까? 바로 숙고하고 반추하는 시스템을 세우는 것이다.
P310 습관을 한 번도 복기해보지 않는 건 거울을 한 번도 보지 않는 것과 같다.
P316 습관 변화의 성배는 단 한번의 1% 변화가 아니라 수천 번의 1% 변화다. 원자와도 같은 작은 습관들이 쌓여 무더기가 되면 전체 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기초 단위들이 된다.
P317 성공은 도달해야 할 목표나 결승점이 아니다. 발전하기 위한 시스템이고, 개선을 위한 끝없는 과정이다. 이미 말했듯이 습관을 바꾸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문제는 당신이 아니다. 문제는 당신의 시스템이다. 나쁜 습관들은 계속 반복되는데 이는 당신이 변화하길 원치 않아서가 아니라 잘못된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때때로 습관을 기억해내기 어렵다면 '분명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시작할 기분이 들지 않는다면 '매력적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어떤 습관이 지나치게 어려운 것이라면 '하기쉽게' 만들 필요가 있다. 그 습관을 꾸준히 할 기분이 들지 않는다면 '만족스럽게' 만들 필요가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