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2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7기 78조 바쏭]

  • 24.05.18

1강에서 수도권을 투자할지, 지방을 투자할지 투자지역 선정에 대해서 다루었다면 2강은 투자의 원리와 과정에 대한 내용이다.


열기반에서도 투자의 원리를 설명해주셨는데 저환수원리에 대해서 다시 한번 자세하게 설명해주셨다. 열기반 들을 때에도 결국 저환수원리가 다 비슷비슷한 내용 아닌가? 생각하다가 강의를 듣고 각각의 원리가 가진 중요성이 다 다름을 깨우쳤었는데 강의 들은지가 오래 되어서 그런지 이번에도 똑같은 생각을 하다가 게리롱님 설명을 듣고 확실히 차이점을 알게 되었다.


특히 '환금성'에 있어서 나는 아파트 투자만을 바라보고 있기에 다른 투자 영역(빌라, 오피스텔, 상가 등)에 비해 환금성이 좋은 편이다. 그래서 환금성은 특별하게 걱정할 필요가 없겠구나 생각했는데 서울 강동구와 전주의 아파트를 설명해주시며 아파트 투자에도 환금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환금성의 진짜 의미를 알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투자 성과는 많은 차이가 날 것이다. 저환수원리에서 '환'이 괜히 두 번째에 들어가는 게 아니구나 했다.

또한 각 지역의 가치를 알아야 매도 계획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을 말씀하셨을 때, 투자에 있어서 매수만 생각했지 매도 시점까지는 생각을 안 했었어서 배워야 할 게 아직도 많고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매도 시점을 어떻게 잡지? 하는 궁금증이 생기던 찰나 친절하게 게리롱님께서 생각하신 입지별 매도 시점에 대한 기준틀을 제시해주셔서 감사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정답은 아니지만 큰 범위와 기준을 알게 되었다. 투자 시작한 지 약 4년 정도만에 이러한 인사이트를 얻으셨다는 게 대단하기도 했다.

장기보유한다고 했을 때 가급적 안 팔 것을 산다고 하셨는데 그래도 좋은 물건이라도 팔아야 수익이 나는 것이기 때문에 월부 선배님들은 가치가 좋은 지역의 아파트를 장기보유로 투자할 때 얼만큼의 기간을 생각하고 매수를 하시는지 궁금하기도 했다. 이 부분은 다행히 선배와의 독서모임에서 질문할 기회가 있어서 답변을 들을 수 있어서 선배님께 감사했다.


'리스크' 부분도 기억에 남았다. 투자에서 당연히 리스크가 있다는 것을 알지만, 부동산 투자에서 중요한 것은 다가올 리스크를 미리 대비,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공급물량을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투자를 하고자 할 때 2년 뒤의 상황까지 예측해본다면 실 투자금과 투자 물건의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강의에서 좋았던 부분은 게리롱님께서 아파트를 매수하기로 마음 먹었을 때 그 물건을 고르게 된 사고의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신 거였다. 아파트의 가치를 이렇게 판단할 수 있구나 하는 감을 조금은 익힌 것 같다. 또한 단순히 상승장까지의 수익이 아닌, 하락장이 왔을 때까지 고려해서 비교평가를 해주신 부분이었다. 부동산 투자에서 하락장은 피할 수 없는 부분이기에 이 부분도 대응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분임이나 단임 시 방법, 팁을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이번 임장에서 그대로 실행해봐야겠다.


댓글


바쏭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