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원씽>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7기 45조 오난]

  • 24.05.22




STEP 1. 책의 개요


1. 책 제목 : 원씽

2. 저자 :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3. 읽은 날짜 : 2024. 5. 16 ~ 2024. 5. 21

4. 총점 (10점 만점) : 8점 / 10점



STEP 2. 책에서 본 것


[제1장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 하나'는 무엇인가]

✔️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정(focus)를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는 한정되어 있다. 그것을 너무 넓게 펼치려 애쓰다 보면 노력은 종잇장처럼 얇아진다.


[제2장 도미노 효과]

✔️ 남다른 성과를 얻기 위해선 삶에서 도미노 효과를 만들어 내야한다.

✔️ 훌륭한 성공은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일어난다. 선형으로 시작된 것이 기하급수적으로 변한다.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그다음에 또 한 가지 올바른 결정을 내린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것들이 쌓이다 보면 성공의 잠재력이 봇물 터지듯 발산된다.

✔️ 핵심은 오랜 시간이다. 성공은 연속하여 쌓인다. 단, 한 번에 하나씩이다.


[제3장 성공은 반드시 단서를 남긴다]

✔️ 무언가를 향한 열정은 곧 어마어마한 양의 연습이나 노력으로 이어진다. 그렇게 쓰인 시간은 기술로 축적되고, 기술이 나아지면 결과 역시 나아진다. 더 나은 결과는 보통 더 많은 즐거움을 불러오고, 그러면 다시 더 많은 열정과 시간이 투자된다. 탁월한 성과로 나아가는 선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부 거짓말_의심해 봐야 할 성공에 관한 여섯 가지 믿음]

✔️ 오늘날 우리는 너무 많은 것들을 동시에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다른 것들'은 자주 우리의 생각을 흐리게 하고, 잘못된 행동으로 이끌며, 성공을 방해한다.

✔️ 성공에 관한 잘못된 여섯 가지 믿음 1)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2) 멀티태스킹이 곧 능력이다 3)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4)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5)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6) 크게 벌이는 일이 위험하다


[제4장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

✔️ 할 일 목록은 긴 경우가 많지만, 성공 목록은 짧다. 할 일 목록은 당신을 여기저기로 잡아끌지만, 성공 목록은 구체적인 한 방향으로 이끌어 준다. 할 일 목록은 어지럽게 적힌 명단이지만, 성공 목록은 잘 정돈된 지시사항이다.

✔️ 제대로 된 인풋(input) 하나가 대다수의 아웃풋(output)을 만들어 낸다. 선택적 노력이 거의 모든 성과를 창조한다.

✔️ 중요한 일에 파고들어라. 바쁘게 움직이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 생산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일을 중심으로 하루를 조직하라.

✔️ 'NO' 라고 말해라. '나중에' 라고 하든 '안 된다' 고 하든, 중요한 건 가장 중요한 일이 끝날 때까지 다른 모든 일에는 '지금 말고' 라고 딱 잘라 말하는 것이다.

✔️ '끝난 일에 줄 긋기' 게임에서는 승자가 나올 수 없으니 거기에서 벗어나라. 모든 일이 똑같이 중요할 순 없고, 성공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일에 숨겨져 있다.


[제5장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 멀티태스킹을 잘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관련 없는 일에 푹 빠져 쓸데없는 시간을 보내는 것이 관찰됐습니다.

✔️ 스티브 우젤이 말한 것처럼 "멀티태스킹은 한 번에 여러 가지 일을 망칠 수 있는 기회'에 지나지 않는다.

✔️ 각종 연구에 따르면 평균 직장인들은 11분마다 한 번 씩 타인의 방해를 받고, 하루 일과 중 3분의 1을 집중력을 되찾는 데 사용한다고 한다. 그런데도 우리는 이 모든 것을 이겨내고, 마감 기한 내에 해야 할 모든 일을 끝낼 수 있다고 믿는다.

✔️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할 수는 있지만 한 번에 두 가지 일에 모두 효과적으로 집중할 수는 없다.

✔️ 만성적으로 멀티태스킹을 하는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예측하는 감각이 떨어진다. 그래서 실제보다 훨씬 더 걸린다고 생각한다.


[제6장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 생각보다 훨씬 적은 자기통제력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 하나다. 성공은 옳은 일을 해야 얻는 것이지, 모든 일을 다 젣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삶의 일부가 되도록 하나의 습관을 확립하라. 그러면 힘을 훨씬 덜 들이고도 일상이 효과적으로 바뀔 것이다. 힘든 일이 습관이 되면 습관은 그 힘든 일을 쉽게 만든다.

✔️ 좋은 습관을 가진 사람들이 다른 이들보다 무엇이든 더 잘 해내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들은 가장 중요한 일을 주기적으로 하는 법을 알고, 그 결과로 다른 모든 일이 더 쉬워지는 것이다.

✔️ 자기관리에 집착하지 마라. 대신 강력한 습관을 지닌 사람, 그것을 개발하기 위해 선택적 집중을 이용하는 사람이 돼라.


[제7장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 사람은 누구나 한정된 자원을 잘 관리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의지력이 그러한 자원 중 하나라는 사실은 잘 모른다.

✔️ 의지력이 바닥난 상태에서 자신의 가장 중요한 업무를 완수했다면 당신의 기본값이 곧 성과의 정도를 결정할 것이다.

✔️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으로 처리해야 한다. 다시 말해 중요한 일은 하루 중 가장 의지력이 충만한 시간에 하라는 뜻이다.

✔️ 의지력이 최고로 높다는 건 곧 성공할 가능성도 최고로 높아진다는 뜻이다.


[제8장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 목적의식, 삶의 의미, 중요성, 이런 것들이야말로 성공적인 삶을 만드는 요소다. 그것들을 추구하다 보면 당연히 불균형한 삶을 살게 될 가능성이 높다.

✔️ 중요하지 않은 어떤 일들을 미완성인 채로 남기는 것은 탁월한 성과를 얻기 위해 반드시 치러야 할 대가와 같다.

✔️ 무게를 맞추는 삶을 살아라. 중요한 일은 맨 앞에 두고, 나머지 부분들은 기회가 닿는 대로 관심을 쏟아라. 훌륭한 삶이란 곧 다른 여러 부분의 무게를 맞추는 삶이다.


[제9장 크게 벌이는 일이 위험하다]

✔️ 궤도를 낮게 잡는 것이 안전하다고 느끼고, 지금 이 자리에 그대로 머무는 게 신중한 선택 같기만 하다. 하지만 그건 사실이 아니다. 큰 일을 두려워하면 작은 사고가 당신의 하루를 지배할 것이고, 큰 일은 결코 현실이 되지 않는다.

✔️ 성공하려면 행동이 필요하고, 행동은 생각을 필요로 한다.

✔️ 실패는 성공이라는 남다른 성과를 향해 가는 여정의 일부다. 실패를 통해 성공에 이를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 가장 정확할 것이다.


[제10장 미래의 크기를 바꾸는 초점탐색 질문]

✔️ 답은 질문에서 나오고, 답의 질(quality)은 질문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잘못된 질문을 하면 잘못된 답을 얻고, 올바른 질문을 하면 올바른 답을 얻는다. 최대한 효과적인 질문을 던져라. 그것을 통해 얻은 답은 당신의 인생을 바꿔놓을 것이다.

✔️ 삶은 곧 질문이고 그것을 살아내는 방식이 곧 우리의 해답이라는 것,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 무엇이냐에 따라 궁극적으로 우리의 삶이 되는 해답이 정해진다.

✔️ 초점탐색 질문은 큰 그림을 위한 지도인 동시에 다음으로 나아가기 위한 작은 나침반이기도 한 것이다. 길게 늘어선 도미노 줄에서 반드시 넘어뜨려야 할 첫 번째 도미노로 당신을 이끄는 것이다.

✔️ 큰 그림 질문: "나의 단 하나는 무엇인가?" 이 질문은 당신의 인생에 있어 전략적 나침반과 같다.

✔️ 작은 초점 질문: "지금 당장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제11장 도미노를 세워라]

✔️ 개념을 이용하라. "오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다른 모든 것을 더욱 쉽거나 불필요하게 만들어 줄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으로 하루를 시작하라. 그렇게 하면 무엇을 해야할지 방향이 명확해진다.

✔️ "나의 단 하나가 끝나기 전까지 다른 모든 일들은 다 필요 없다." 라고 책상 앞에 붙여 두는 것이다.


[제12장 삶의 해답으로 가는 길]

✔️ 당장 할 수 있는 것' (doable), '최대한 힘을 발휘해야 하는 것' (Stretch), 그리고 가능성이 있는 것' (Possibility)이다.

✔️해답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것을 얻고 싶다면 그것이 당신의 컴포트 존(comfort zone, 스스로 편안하다고 느끼는 범위) 바깥에 있음을 먼저 깨달아야 한다. 큰 해답은 훤히 보이는 곳에 있지도 않고, 그것을 찾으러 가는 길 역시 험난하다. '가능성이 있는 것'은 이미 알려진 것과 이미 행해진 것 너머에 있다.

✔️ '최대한 힘을 발휘하는' 접근법을 쓰면 당신이 처음 가졌던 '최고 한계점'이 이후에는 당신의 '최저점'이 될 것이다.


[제3부 위대한 결과_인생의 반전을 불러오는 단순한 진리]

✔️ 공식에 필요한 세 가지 요소는 바로 목적의식(purpose), 우선순위(priority), 그리고 생산성(productivity)이다.

✔️ 당신이 가져야 할 '큰 단 하나' (big One Thing)는 목적의식이고, '작은 단 하나' (small One Thing)는 그 목적의식을 행동으로 옮길 때 필요한 우선순위다.


[제14장 우선순위에 따라 살아라]

✔️ 지금 당장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 때까지 생각하는 법을 훈련하고, 하나의 목표를 다음 목표와 연관 짓는 법을 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 '지금'에 맞춰 목표를 설정하라. 미래의 목표를 아는 것이 첫걸음이다. 거기까지 이르는 데 필요한 여러 단계를 확인한다면 지금 당장 성취해야 할 올바른 우선순위를 알아낼 수 있다.


[제15장 생산성을 위해 살아라]

✔️ 그들이 매일 잡는 가장 중요한 약속은 자신과의 약속 시간이며, 절대 그것을 어기는 법이 없다.

✔️ 매주 한 시간을 따로 떼어 연간 목표와 월간 목표를 검토하라.

✔️ 시간을 확보하고 그것을 지키려면 적극적으로 보호해야 한다.

✔️ 확보한 시간을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것을 변경하거나 미룰 수 없다는 생각을 확고히 하는 것이다.

✔️ 벙커를 지어라. 남이 방해를 받지 않을 장소를 찾아라.

✔️ 하루 일과 중 이른 시간을, 그것도 많이 따로 떼어 두어라. 한 번에 네 시간 이상은 되어야 한다.


[제16장 단 하나를 위한 세 가지 약속]

✔️ 시간을 '예약'하는 데 그치지 말고 그 시간을 '정하고 보호해야' 한다.

✔️ 시간 확보하기에서 최대한 많은 것을 얻어내려면 자신의 일하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제17장 생산성을 훔쳐 가는 네 종류의 도둑들]

✔️ 자신이 정해 놓은 시간을 보호하고 생산성을 유지하려면 당신을 궤도에서 벗어나게 만드는 사람이나 사물에 반드시 거부 의사를 밝혀야 한다.

✔️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아는 것의 절반은 그것을 얻기 위해 무엇을 포기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다.

✔️ 자신이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에 "예" 라고 말하는 것이 당신이 가진 최고의 우선순위다.

✔️ 거절하는 사람이 된다고 해서 반드시 은둔자 같은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와 반대다. 이것은 최고의 자유와 유동성을 얻을 수 있는 길이다. 당신의 재능과 능력은 한정된 자원이고, 시간 역시 한정되어 있다.

✔️ '아니오'라고 말해라. 무언가에 승낙을 하는 건 다른 모든 것을 거절하는 것과 같다는 사실에 명심하라. 그 무엇도 자신의 최고 우선순위를 지키는 데 방해가 되어선 안 된다.


[제18장 위대함으로 가는 변화의 시작]

✔️ 자신의 목적의식과 우선순위를 믿을 때에만 비로소 단 하나를 추구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단 하나에 대한 확신이 들면 그 일을 행하기 전에 가졌던 그 어떤 망설임도 이겨 낼 힘이 생길 것이다.

✔️ 매일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을 하도록 해라.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알 때 모든 일이 이치에 닿는다.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모른다면 말도 안되는 것들을 옳다고 판단하고 행동하게 된다.

✔️ 삶에 목적의식을 가지고, 매일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에서 높은 생산성을 올릴 수 있다면 당신의 삶도 조각이 맞춰지는 것은 물론 위대한 성과가 가능해진다.



STEP 3. 책에서 깨달은 것


💡 이전에는 욕심만 가득해 자기계발, 종교활동, 취미생활, 인간관계 어느 하나 놓치고 싶지 않아 빼곡하게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지워나갔었다. 그런데 지금 나에게 남은 것은..? 바쁘게 움직이는 삶에 취해 정작 이룬 것은 없는 현실을 직시하지 못했던 것이 아닐까.


💡 내게 주어진 시간, 의지력도 유한한 자원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저 나의 능력, 정신력의 문제인 것으로 치부하고 패배감으로 스스로를 괴롭혔던 시간들이 스쳐 지나갔다. 사실 그럴 수 밖에 없었던 것인데 말이다. 내가 할 것은 이 유한한 자원을 어떻게 확보하며, 어떤 중요한 곳에 사용할 것인가라는 것!


💡 '내가 늙어 죽는 순간 삶을 돌이켜보며 안전하게 잘 살아왔음이 아닌 정말 멋진 모험이었다고 말할 수 있기를'

투자 공부를 하고 있는 요즘 나에게 와닿는 문구이다. 큰 해답은 나의 컴포트존 바깥에 있다는 것. 그러므로 스스로 나를 임계점까지 계속 이끌고 가야할 것이다.



STEP 4. 책에서 적용할 점


🧑‍🏫 몰입할 수 있는 시간 보호하기

✔️ 투자자 : 주 1회 재택 시 미모 2시간 - 원씽부터 시작하기

✔️ 삶 : 불필요한 술약속은 단호하게 거절하기

✔️ 회사 : 오전 세 시간은 미팅룸 예약해 업무하기 - 나만의 벙커 만들기


댓글


우가울
24. 05. 24. 00:48

어머어머 투자자/삶/회사로 구별해서 적용할 점 적어주신 것 너무 멋져요. 오난님 절주 응원합니다! ㅎㅎㅎ

젤리메탈
24. 05. 24. 09:50

저는 원씽을 읽으며, 삶은 생각보다 단순한 원칙으로 돌아가는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오난님 적용점들에서 자기개발에 대한 강의 의지가 느껴집니다. 독서후기 감사합니다. 저도 한번 더 읽으며 되새김이 된것같아요 고생하셨습니다 :^)

늘배
24. 05. 27. 13:39

원씽까지 역시 오난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