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내집마련 중급반 - 한번의 선택으로 인생의 격차를 만드는 내집마련
용용맘맘맘, 너나위,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내마중 수강중인 반듯입니다.
2주차 권유디님 강의를 듣고 새롭게 알게 된 점 & 느낀점 & 적용할 점 위주로 정리하면서 복기해보겠습니다.
(본)
매매 물건이 많이 쌓이는 시장. 매수자가 가격 결정권을 쥐고 있다. 매수기준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주목해야 하는 것은 가격의 변화가 아니라 가격 그 자체이다. 매수기준가를 정하고 충분히 싸다면 매수한다.
수도권 급지별 특징을 알고, 각 구별 핵심 입지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한다.
'부촌'이 가지는 힘은 상위급지일수록 크고, 4군 이하 급지일수록 땅의 힘보다는 환경(택지, 뉴타운)이 중요해진다.
월 저축금액을 기준으로 감당가능한 대출금액을 계산하여 적정 예산을 수립하고 후보 지역과 단지를 찾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깨)
수도권이라고 해서 무조건 교통을 1등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각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입지요소가 무엇인지 알고 우선순위를 정해서 비교평가 할 수 있어야 한다. 지하철 노선중에서 무조건 2호선만 가장 좋은 것도 아니다. 지역에 따라 다르다.
적정예산을 수립하고, 예산으로 살 수 있는 실거주 집과 거주-보유 분리하여 살 수 있는 집을 비교했을 때, 더 좋은 단지가 아니라면 직접 실거주하는 선택을 하면 된다.
실거주는 투자와 달리, 나의 삶과 직접 연관되기 때문에 굳이 더 좋은 1등을 뽑기 보다는 나의 취향에 맞는 곳으로 결정하면 된다. (미대생이 의대에 진학하면 괴롭다)
거주-보유 분리하면서 전월세 거주하게 됐을때, 내가 거주하는 집의 전세 상승분은 어떻게 마련할까? - 보유한 집 전세 상승분을 소비하지 않고 리스크 대비용으로 보관하고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내가 보유한 집의 가치가 더 좋기 때문에 가치가 좋은 집의 전세 상승분이 더 크기 마련이다.
(적)
살고 싶은 집을 직접 가서 임장해본다. 집을 보고 거실을 걸어보고, 창밖의 뷰를 보면서 내가 실제로 사는 모습을 느껴본다.
댓글
반듯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