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본격 투자를 시작하면서 세운 1차 목표는, 부자가 되는 것이 아니었다. 나는 그저 나의 노후를 준비하기 위해 투자를 시작했다. 부자는 그다음에 따라온 결과였을 뿐이다.
나는 완전히 거꾸로 생각하고 있었다. 부자가 되는게 먼저고, 돈은 많이 벌수록 좋을 것이고, 노후준비는 그저 따라오는 것이라 생각했다. 노후준비가 되려면 얼마가 언제쯤 모여야하는지 구체적인 계획도 없었다. 책 초반에 나온 노후준비에 대한 내용을 읽고는 머리를 한대 맞은 느낌이었다...!
돈을 버는 이유, 목적에 대해 다시한 번 생각하게 된 글이였달까...?
이 페이지를 읽은 후 곰곰히 생각해서 남편과 상의 끝에 우리의 비전보드를 완성했다.
우리가 돈을 벌고자 하는 이유와 1차적인 목적, 그리고 구체적인 금액.
이렇게 한번 진지하게 고민하고 생각한 끝에 적어놓으니 가는 방향과 목적이 뚜렷해지는 느낌이었다.
이대로 꾸준히 노후준비와 1차 목표를 위해 달려나가다보면 자연스럽게 부자가 되어있을 나의 모습을 그려보게되었고, 그것 만으로도 많은 것을 얻게 된 책이라 고마움이 크다.
시간이 흘러도 가치와 가격이 증대될 가능성이 있는 생산자산은 감가삼각 외에는 기대할 것이 없는 소비 자산과 정확한 대척점에 있다. (P. 80)
최근 투자공부를 하면서 쌓였던 피로감이 이 문장으로 위로받는 느낌이였다.
여행을 좋아하고 취미생활이 많던 내가, 소비를 소비자산에서부터 생산자산으로 옮겨가는 과정이 쉽지는 않지만 틀리지는 않다는 확신이 들게 했다.
<직장인 투자자의 돈 흐름> p.88
-1단계 : 직장에서 열심히 일하고 그 대가로 급여를 받는다 (시간-근로소득 교환)
-2단계 : 소비자산에 대한 지출을 최소화한다 (절약)
-3단계 : 남은 돈을 모은다 (자본화)
-4단계 : 모은 자본으로 생산자산을 산다 (투자)
-5단계 : 앞의 1~4단계를 반복하며 규모를 키워 자산 시스템을 만든다 (시스템마련)
-6단계 : 시스템으로부터 일하지 않고도소득을 얻는다 (비근로소득 확보)
직장인투자자 vs 투자하는 직장인
이 둘 중 어떤 쪽을 원하는지에 대한 답변은 아직 내리지 못했다. 직장에서도 충분히 즐거움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쪽이든 직장인 투자자의 돈의 흐름은 책에 나온 6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
그것이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어떤 형태의 자산이든 간에 말이다.
책을 읽기 전에는 단순히 지출을 통제하고, 자산을 구매하기 위한 목돈을 모으자는 개념으로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생산자산과 소비자산에 대한 개념을 알게되었고, 같은 지출이지만 소비자산과 생산자산에 대한 지출은 의미가 전혀 다르다는 것도 깨달았다. 나는 지출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더 크고 가치있는 지출을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다. 절약과 자본화를 통해 천천히, 단단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싶다.
- 목돈을 만드는 데 장기간의 현금 유출만큼 방해가 되는 것도 없는데 말이다. (P.93)
- '임장 후 모니터랑'은 각 지역의 부동산 시세 흐름과 변화를 찾아내고 그 원인을 공부함으로써 투자에 대한 안목을 쌓는데 도움이 되는 아주 좋은 공부법이다 (p. 147)
- 대안이 있으면 급할 것이 없다. 이처럼, 아는 지역을 늘려두면, 저평가된 투자처를 발굴할 때 뿐만아니라 실제 협상에서도 강력한 무기를 손에 쥘 수 있다. (p.157)
- 당신이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자신만의 투자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다 (P.253)
댓글
호히동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