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기초반 65기 48조 라온] 독서후기-아주 작은 반복의 힘

  • 23.09.29

1. 제목 및 소개

  •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아주 작은 반복의 힘
  • 저자 및 출판사 :로버트 마우어 지음, 스몰빅라이프 출판사
  • 읽은 날짜 : 2023년 9월27일 ~ 9월28일
  •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작은질문쉬운해결 #마음조각하기 #작은보상
  •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8점) :

2. 내용 및 줄거리

인생의 변화를 위해서 우리는 많은 목표를 세운다.

그러나 그 목표는 작심삼일로 끝나거나 그 이상이 되어도 흐지부지 되거나, 혹은 성취를 이루었지만 다시 과거로 돌아가기를 반복한다.

왜!

우리의 뇌는 동물적인 파충류의 간뇌, 포유류의 뇌 중뇌, 그리고 대내피질을 가진다. 당장 곰과 막닺뜨린다면 생각할 틈없이 도망치게 하는 것, 이것이 간뇌이다.

체온유지, 감정을 가진 포유류의 뇌가 있고, 100만년전부터는 대뇌피질의 창의적기능으로 문학 예술등이 이루어지면 인간을 만물의 영장이 되게 해줬다.

우리가 하는 생각들은 질문이다, 이 질문들에 대해서 뇌는 두려움을 느끼면 편도체가 위험을 감지하고 방어기제가 작동한다. 이 방어기제는 수백만년전 인간이 자연에서 살기위해서는 매우 필요했던 기능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오늘날이렇게 되면 대뇌피질의 창의적 기능이 가장 필요한 순간에 멈추는 것이다.

소위 멘붕상태에 빠진다.

이를 위해서 제안하는 것이 작은 질문이다.

내가 이루고 싶은 것이 있다면 이를 이루기 위해서 그것을 위해서 내가 할수 있는 게 뭘지 질문한다.

여러 방향에서 질문을 하고, 작게 만든다. 그수준이 그정도라면 내가 할수 있지! 라는 생각이 들때 까지이다.

내 뇌가 이 질문이 놀이라고 생각하고 즐겁게 생각하도록 작게작게 만든다.

그렇게 해서 쉬운해결, 빠른 성취를 하게 되는 것을 꾸준히 반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은질문,쉬운해결을 반복하면서 해마에는 내가 저장하고 꺼낼 수 있는 긍정적인 정보가 쌓이게 된다.

이렇게 라면 우리의 가능성은 1+1+2+ 쌓여나갈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그에 맞는 작은 보상을 하라. 큰보상에는 보상이 목적이 되어 자극과 창의성이 생기지 않고 우리의 내재적 동기를 위축시킨다.

우리는 알고 있다. 상대방의 감사하다는 한마디가 우리가 한 수고를 모두 녹여준다는 것을!!!

어렵다고 느낀다면 수준에 맞지 않는 것이다. 더 작은 질문과 도전으로 돌아가야 한다.

때때로 생각만 한다. 소위 상상을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뇌는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훈련을 위해서 마음조각(mind sculpture)만들기를 하자!

30초부터 매일 편안한 시간과 장소에서 상상한다.

그 곳의 모습, 나의 모습, 감각으로 느낄수 있는 모든 것을 상상하면서 실제와 같이 훈련해 나간다.

세상을 변화하고 싶다면 작은 것이 중요하다는 신념과 함께 변화해야 한다.

매순간 자신의 가능성을 이끌어내는 것보다 인생에 있어서 더 중요한 것이 있는가?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목표를 세우는 것과 그 과정으로 가는 단계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

목표는 높고 성취를 하려면 엄청난(?) 노력을 해야 되므로 목표에 치여서 목표를 낮게 설정하거나 세우고 싶어지지 않는다.

작은 질문으로 목표성취의 과정을 상세화 할 수 있겠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평소에 목표를 정하고 계획을 세워보는 데 성공의 확률은 낮았다.

성공했던 경우를 돌아보면 정해진 강의를 매일 2-3개씩 보는 것이었다.

그때 성공했던 이유가 질문 - 행동- 반복의 힘이었지만 과정은 고통스러웠다. 그래서 성취의 기쁨은 컸지만 저항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쏟아부은 시간에 비해서 내게 남은 정보가 작다고 생각되었다.

그 이유를 알것 같다. 책을 빌어보면 나의 중뇌는 힘들어서 편도체의 방어기제가 작동했고, 대뇌피질이 기능을 멈춰 (이른바 멘붕) 버린다.

그러면 공부한 내용이 확실하게 해마에 저장되지 않다 보니, 내가 꺼내보고 싶을 때에 "열심히 했던 기억"만 소환되었다.

이제 이렇게 되어야 한다.

  1. 목표를 정한다.
  2. 이를 이루기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는 한가지는 무엇인가?
  3. 2를 실천한다.
  4. 익숙해지면 새로운 2, 3을 추가해 나간다
  5. 일정기간 수행이 안된다면 그것은 나의 뇌를 속이지 못한것이다. 더 작게 질문하고 할수 있는 한가지를 찾아낸다.
  6. 4를 수행한다.

5.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역행자



댓글


maheunii
23. 09. 29. 21:04

"내 뇌가 이 질문이 놀이라고 생각하고 즐겁게 생각하도록 작게작게 만든다!" 좋은 내용 공유 감사합니다~! 역행자도 라온 님 덕분에 읽어보고 싶어져서 독서리스트에 담아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