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게리롱입니다.
날씨가 부쩍 무더워졌네요.
다들 건강은 괜찮으신가요?
저는 개인적으로 5월에 회사 업무가 정말 바빴습니다.
매일같이 계속되는 야근에다가
집에 오면 체력이 바닥나서 아무것도 하기가 싫은
그런 느낌이더라고요 ㅎㅎ
그러다 문득 이제 막 투자공부를 해보려는
저와 같은 수많은 K-직장인 투자자들이 떠올랐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투자를 한 번 해보겠다고
하루에 1시간씩 시간을 내는 것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건데..
“정말 하루에 1시간으로도 할 수 있을까?”
“그리고 하루에 1시간밖에 못 한다면
도대체 뭘, 어떻게 하면 될까?”
제가 지금의 경험과 기억을 갖고
처음 투자 시작할 때로 돌아간다면
저런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좋을지
생각을 한번 해봤는데요.
아마도 전 이렇게 해볼 것 같습니다.
# Step.1
우선은 K직장인답게 지하철을 타고 퇴근해서
내가 임장할 지역의 지하철역에 내립니다.
성인이 평범한 속도로 걷는다면
보통 1시간에 4~5km 정도를 걷게 되는데요
지하철역 기준으로 1 ~ 2개역 정도의
주변을 둘러보면 딱 4 ~ 5km 정도가 나옵니다.
그래서 첫째날은 퇴근 후 옥수역에 내려서
금호역까지 한번 넓게 돌아보고
둘째날은 금호역에 내려서 신금호역 주변까지,
셋째날은 행당역에서 응봉역까지
이렇게 한 개 구를 '지하철역 기준'으로
조금씩 나눠서 동네 분위기를 살펴 봅니다.
아마 7 ~ 8일 정도 해보시면
그 지역 전체를 넓게 돌아 볼 수 있을 겁니다.
# Step.2
그리고 나면 이번엔 동네가 아니라
단지들을 하나하나 직접 들어가서 보고 나옵니다.
다시 첫째날로 돌아가
옥수역 주변에 있는 단지들부터 하나씩 보는거죠.
저는 보통 단지 하나당 10분 정도 잡고 보는데,
그러면 퇴근 후 1시간씩 단지들을 본다고 했을 때
하루에 약 5~8개 정도 단지를 보고 올 수 있습니다.
그 지역에 있는 단지들 중 주요 단지 50개 정도를
직접 보고 오는 걸로 목표를 잡는다면,
이것도 한 7 ~ 8일 정도면 얼추 목표한 단지들을
다 보고올 수 있습니다.
# Step.3
마지막으로 2 ~ 3일 정도는 부동산에 가서
직접 집도 한 번 볼 것 같습니다.
투자할 만한 주요 단지 2 ~ 3개 정도 골라
하루에 1, 2개 단지씩 예약해서 보고 오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평일 퇴근 후 1시간씩
약 20일 정도를 왔다갔다 했을 때
한 개 지역의 임장을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하필 또 퇴근이 너무 늦어지거나,
오늘은 너무 피곤해서 도저히 못가겠다거나,
아니면 어쩌다 잡힌 저녁 약속이 있거나,
이런 날은 아마 임장을 가기 어려울 겁니다.
이럴 땐 집에서 1시간 만이라도
내가 임장하면서 봤던 것들을 임장보고서에
정리해 두는 게 필요한데요.
임장보고서에는 지역개요부터 시작해서
입지분석, 시세지도 등 여러 파트가 있지만,
임장보고서의 본질적인 목표는
내가 임장한 지역의 가치를 ‘제대로’ 알고자 함입니다.
가치라는 추상적인 단어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자면,
부동산에서의 가치는 곧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떤 지역이나 단지를
더 많은 사람들이 좋아할수록
그 곳은 가치가 높은 지역, 단지가 됩니다.
이걸 지역의 선호도, 단지의 선호도
라고 하기도 합니다.
결국 임장보고서를 쓰는 본질적인 목표는
내가 임장하는 지역을 사람들이 얼마나 좋아하는지,
사람들이 좋아하는 동네(=생활권 선호도)가 어딘지,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단지 선호도)는 어딘지
를 알아내고자 함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임장보고서 또한,
① 내가 보고 온 동네 중 사람들이 어디를 좋아하는지,
나는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② 내가 본 단지 중 어떤 단지를 사람들이 좋아하는지,
나는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에 집중해서 정리를 해둘 것 같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하루에 1시간씩
임장을 가거나, 임장보고서를 쓴다면
산술적으로 앞마당 하나를 만드는데
약 2달 정도가 소요됩니다.
이건 다시 말해,
만약 하루에 2시간을 낼 수 있다면
한 달만에도 아는 지역을 하나씩
늘려갈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사실은
투자를 하고 수익을 낸다는 게
단순히 운이 아니라,
투자라는 영역에 있어서도
인풋과 아웃풋은 굉장히 정직하다는 것입니다.
앞에서 제가 설명드린대로 해도
그 지역의 가치는 어느정도 파악 가능하지만,
임장을 더 많이 다니고,
임장보고서에 더 꼼꼼하게 정리한 사람이
그 지역의 가치를 더 잘 알 수밖에 없고
이건 투자 실력과 결과로 연결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간이 너무나도 부족한
직장인 투자자들을 위해
말 그대로 정말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을 말씀드렸는데요.
만약 '나는 하루에 1시간 보다는 더 쓸 수 있다'
'나는 좀 더 제대로 해보고 싶다' 하시는 분들,
임장을 더 꼼꼼하게 하는 방법,
임장보고서를 제대로 쓰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실전준비반 강의를 한 번 수강해보시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감사합니다.
( + K직장인 투자자 화이팅!!)
지역의 가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임장과 임장보고서 작성 방법이 궁금하다면?
실전준비반 무료 강의설명회에 참여해보세요.
좋은 글을 남겨주신 멤버에게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로 감사함을 나눠주세요. 😀
댓글
d
튜터님 감사합니다!!
시간이 나면 임장을! 그리고 꼭 정리해두겠습니다 튜터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