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공급 확인 하는 주기 ?

  • 23.08.13

안녕하세요 희망코이 입니다

저는 소액투자로 지방에 관심이 있습니다.

지방은 공급이 더욱 중요한것으로 확인됩니다.


질문1)

대구의 경우에는 시장의 하락장 + 공급으로 인해 착공물량이 멈춘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걱정되는것은 , 예정되어있던 착공 물량이 멈추었지만 , 언제든 다시 시작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역별 공급은 1달에 1번정도 확인하시는지 , 분기별로 한번씩 확인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질문2)

착공물량 , 인허가물량 등등 확인해야하는 방법이 다양한것같습니다.

인허가 물량도 공급을 파악하는데 유의미한지 궁금합니다 ! ( 다소 먼 시점 아닐까 ? 생각이 들어서 입니다 )


질문3)

전세 소진 속도를 아는 방법은 현재 분양하고 있는 단지 트렉킹 이외는 없을까요 ?


오늘도 답변주시는 모든분들 감싸랑합니다 !!



댓글


용용맘맘맘creator badge
23. 08. 14. 08:06

안녕하세요. 공급이 많은 지역에 투자하는경우 공급물량을 잘 봐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고민이되시는것으로 보입니다. 저의 경우는 투자를 했던 시점과 보유하는 시점을 함께 보는데 먼저 투자를 하는 시점에서는 현재 부동산지인+호갱노노+직방 + 인허가 물량을 보면서 공급의 양을 볼때 현재 전세를 맞출수가 있는지를 포인트로 보고, 보유를 하면서는 전세 만기 도래되는 1년전부터 집중적으로 다시한번 위 사이트들을 보면서 내가 놓친게 있는지. 그리고 인허가+착공 물량 추이를 보면서, 매수시점에서는 안나왔던 3년이후 공급물량 추이가 어떻게 방향을 틀어갔는지를 봅니다. 그리고 전세만기가 돌아오는 8개월전부터는 본격적으로, 내 단지 전세 뿐아니라 주변 전세 가격 + 매물수들을 트레킹을 해두면서 돌아오는 전세만기를 어떻게 대처해 나갈지를 고민해 보는것같습니다^^

가우리creator badge
23. 08. 14. 10:05

질문1) 저는 분기별로 확인 합니다. 매월 파악하는 것은 더 좋지만 만약 시간이 없으시다면 분기별로 반드시 반기에 한번은 확인 하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생각보다 눈 깜짝 할 사이에 공급이 늘어나 있습니다.)

질문2) 착공은 보통 2~3년 정도, 인허가는 그 이후 흐름을 대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 칼럼을 참고해보세요.
(https://cafe.naver.com/wecando7/8950525)

질문3) 전세소진속도를 아는 방법은 단지의 전/월세 개수를 트래킹하는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
다른 방법은 아실에서 매물증감으로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