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3강 후기 [ 14기 24조 자몽주스 ]

  • 24.06.21

안녕하세요 자몽주스입니다.

이번 3강에서는 서북권과 동남권 자치구 두 곳에 대한 지역분석이 있었습니다.


자모님께서는 이번 강의에서 지역분석의 중요성과 순서를 알려주셨습니다.

(임장은 그 지역에 깊게 파고드는 장점이 있지만, 그것이 맹점이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새로웠습니다.)


실전준비반에서도 임보를 쓰는 방법을 익혔지만,

자치구별로 인구, 직장, 교통, 학군, 환경을 어떻게 분석해나가는지 실제로 적용해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ㅇ 인구

특히 임보 인구 파트는 첫 앞마당에서는 그래프를 갖다 붙이고 끝났는데,

2강 주우이님의 구별 연령별 특징, 3강 자모님의 인구수, 세대당인구수 분석법을 통해서

숫자와 그래프에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지역 사전분석이 임장지에서 일맥상통하는 것을 발견했을 때 그 기쁨이란!)


ㅇ 직장

부동산에서 직장이 주는 힘이 크다고는 알고 있었지만, 강서구가 왜 4급지 내에서도 눈에 띄는 가격상승을

이룰 수 있었는지 비교 사례를 통해 체감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그리고 단순한 근로자 수 뿐만 아니라, 500인 이상 대기업 수, 산업별 사업체 수까지

분석하는 것을 통해 직장의 양뿐만 아니라 질까지 분석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실전준비반에서 기초를 다지고, 서투기를 통해 살을 붙이는 심화학습이 되는 것 같아 좋았습니다.


ㅇ 교통

교통 역시 모든 구에서 다 중요한 거 아니야~?라는 생각을 버릴 수 있었습니다.


자체 업무지구를 가진 곳은 (교통이 조금은 떨어져도 - 직주 근접이 가능하므로 - ) 학군, 환경이 중요한 반면,


전형적인 베드타운으로 업무지구가 없는 곳은 교통, 역세권 여부가 중요하다는 시각이었습니다.


ㅇ 환경

백화점, 종합병원도 물론 중요하지만 택지, 커뮤니티 여부가 환경에서 중요하다는 생각을 가져가야 겠습니다.


다음으로는 투자의사결정 프로세스 순서입니다.

수많은 단지들이 머릿속에 날아다니는 상황에서

1. 지역 내 비교평가

2. 지역 간 비교평가

3. 투자 의사결정


현재는 1번도 안 되어 있는 상황에서 욕심을 부려 2번도 같이 하려고 있는데요.

차분히 1번부터 해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저평가 여부(싼가, 비싼가)와 리스크 대비가 가능한가 여부

언제나 마음 속에 새기고 모든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삼아야겠습니다.


댓글


미여기
24. 06. 25. 17:07

핵심만 콕콕 골라주시는 후기 굿굿!! 자몽주스님 고생 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