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답답했던 마음을 풀리게 해주었던 자모님의 강의

  • 24.07.09

[1-1강]

 

경기도 투자 이해도 높이기

 

 

당장 투자할 곳을 찾는 것이 아니라, 

내가 가진 돈으로 투자할 수 있는 지역들을 늘려 놓는 것이 중요하다.

 

가격이 오른 단지를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지금 싼 다른 투자처를 찾아야 한다.

 

'뭐가 더 오를까?'가 아니라, '뭐가 더 싼가?'를 생각하라.

 

좋은 것만 보는 것이 아니라,

아직 오르지 않은 단지들 중에 더 좋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려면 알고 있는 투자처를 늘려야 한다.

 

내가 얼마의 투자금으로 어떤 투자를 할건지에 따라 임장 지역이 달라진다.

 

부천, 수원, 고양 보려면 '단지별로' 저평가된 것을 찾아야한다.

 

[10년 이상 장기보유]

서울 

3급지 이상 / 4급지에서 거주 수요가 있는 단지

경기 

평촌 이상 땅의 가치를 가지는 지역

 

 

[단기보유(5년) 후 매도]

서울 

5급지

경기

 부천, 수원, 고양

→ 매도하여 종잣돈 만들기

 

★강남과의 거리가 멀고 연식이 좋은 or 구축 아파트들이 몰려 있는 경우는

‘지방’으로 인식하고 투자해야 한다.

 

 

[1-2강]

 

투자 방향성 정하기

 

내가 가진 투자금으로 투자할 수 있는 단지 중 싸면서 가치가 있는 단지.

즉, 서로 비교할 수 있는 단지를 많이 만들어두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1억 미만 투자금이 있어 지방과 고민된다면,

지방을 오고가며 임장할 수 있는 시간과 에너지가 있는지 고려해보고,

 

그것이 불가하다면

 

부천, 수원, 고양 등 지방투자로 접근할 수 있는 수도권에 

소액투자하고 5년 정도 보유 후 매도하라.

 

 

[1-3강]

 

투자로 이어지는 각 신도시 별 가치 파악

 

연식이 오래될수록 땅의 가치로 단지의 가치가 결정된다.

 

신도시에 투자했을 때 수익을 낼 수는 있지만,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면 더 좋은 위치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기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통이기 때문에

신도시 중 교통 호재가 있는 곳을 잘 정리하라.

 

교통 호재 실현 가능성이 크다면 교통 호재 근처 단지를 우선으로 보라.

 

반면, 교통이 좋지 않은 지역일수록 

‘메인 생활권’이 어디인지 잘 살펴보고,

메인 생활권에 더 가까운 단지를 선택해야 한다

(어차피 연식은 비슷하니까)

 

한편, 연식이 오래 되어도

사람들이 살기 좋은 환경, 출퇴근하기 좋은 위치인 신도시가

결국에는 가치를 인정 받는다.

 

각 신도시 별 땅의 가치, 환경의 가치를 지니는 곳을 구별하여

신도시 지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투자 범위,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하라.

 

 

[1-4강]

 

비교평가 의사결정 프로세스

 

같은 투자금으로 투자할 수 있는 단지들 

즉, 비교할 수 있는 투자처를 늘리고

 어디에 투자해야 할지 ‘가치, 가격’ 기준으로 판단하라.

 

이를 위해서는 서울과 경기도 단지 중 전고점이 비슷한 단지들을 서로 붙여서 비교해보라.

 

그 중에서 

‘더 좋은 곳, 저평가된 곳, 더 싼 곳, 

전고점 대비 하락률 20~25% 되는 것, 투자금이 덜 드는 곳'

에 투자하라.

 

결국, 

경기도/서울을 구별하지 않고 

전고점 가격대가 비슷한 단지는 ‘가치’가 비슷하다고 생각하고 

그 안에서 더 선호도가 높고, 내 투자에 더 유리한 단지로 의사결정을 한다.

 

부천, 수원, 고양과 같이 서울과 입지가 비슷하지 않은 경기도라면

‘연식’을 우선으로 선택한다.

 

 

[1-5강]

 

시장흐름이 보이는 선도지구의 재건축

 

내가 투자한 지역이 

‘입주장인 지역과 물리적으로 얼마나 가깝냐’,

‘입지 가치가 얼마나 차이가 나느냐’에 따라 전세가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입주장에서 전세를 뺄 수 있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전세를 못 뺄 경우 잔금이 가능한가를 고려해야 한다.

 

 

[1-6강]

 

앞으로 신도시 투자를 위해 해야할 것

 

시세가 오르고 내리는 것을 신경 쓰기보다,

"절대 비싸게 사지 않는다"는 원칙만 가지고 가면 된다.

 

'매수'에만 꽂히면 감정적이게 되고,

돈을 넣고 나서야 안 보이던 것들이 객관적으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 투자 원칙(저환수원리)을 세우고 잘 지키자.

 

임장보고서

가치분석 / 가격분석 / 물건분석 + 단지별 저환수원리 적용

마지막 한 줄은

 

그래서

투자 한다 / 안 한다

 

결론 짓기

 

내가 정말 원하는 것을 행동해서 얻자.

나는 할 수 있다.


댓글


허씨허씨
24. 07. 09. 22:33

내가 정말 원하는 것을 행동해서 얻자!!! 너무 좋은 확언입니다. 하우꾸님 파이팅!!!

비브
24. 07. 09. 23:06

하우꾸님! 뒷심 약해지지 말고 끝까지 빠이팅입니다 :) 무조건 할 수 있습니다.

돌맹이의꿈
24. 07. 09. 23:16

하우꾸님 완강까지 너무 수고 많으셨습니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