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가격 대별 신도시 VS 서울 내 단지 비교 방법
투자의 핵심인 비교 평가하는 방법을 확실히 배울 수 있었습니다.
전고점이 유사한 서울과 신도시 내 단지들을 통해
실제 저평가되어 있는 단지와 그러한 단지가 갖는 특징들을 알려주셨습니다
앞마당 내에 있는 단지였음에도 가격을 모르고 지나친 단지들이 많아 부끄럽지만,
시세트래킹 리스트에 추가하여 변화추이를 확인하고자 합니다.
적용할 점
-이번 임장보고서에 비교 평가 적용할 것 (앞마당 간 단지 비교 & 앞마당 내 단지 비교)
-시세트래킹 단지에 추가
2.단지의 선호도 순위 파악
전세 재계약 시점이 되어서야 내 물건의 선호도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는 말씀을 주셨는데요
최근 전세를 구하며 내 물건에 대한 가치를 명확하게 알게 되어 크게 공감이 되었습니다.
그저 좋다고 생각했던 단지가 전세 시장에서 밀리는 것을 보며
투자 전에 내 물건에 대한 가치를 객관적으로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내 물건이 몇번째인지 알기 위해 살펴봐야 할 것들을 몇가지 알려주셨는데요.
그러한 요인들을 투자에 적용해보며, 가치있는 물건을 분별할 수 있도록 실력을 키우겠습니다.
적용할 점
-내 물건의 선호도 파악해보기. 다시 제대로 분석
3.오래된 구축은 전세 수요가 없지 않을까?
항상 가지고 있던 의문을 자모님께서 답변해주셨는데요.
강의에서 말씀주신 80년대 단지의 전세 거래 상황을 보고,
제 앞마당 중에서 80년대 구축 단지들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서울 내에서 입지 좋은 80년대 구축에 전세가 무수히 거래되는 것을 보고
"입지만 좋다면!" 실거주를 위해 오는 수요는 있구나.
사람들은 이렇게나 입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적용할 점
-입지 좋은 구축 단지를 제외시키지 말고, 전세 수요가 있는지? 선호 요인이 무엇인지 임장보고서에 적용해볼 것
좋은 강의 들려주신 자모님 감사합니다♡
댓글
저도 80년식 아파트 전세 수요에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객관적인 자료를 보지 않은 저만의 생각이었네요!! 후기 작성하시느라 고생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