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신투기 2강의 제목은 ‘신도시 중 가장 좋은 곳 투자핵심’이다.
상세한 입지 분석을 들으며 강의에서 언급된 두 도시가 과연 투자 가치가 있는 곳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2강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
1.입지 요소별 변화가능 정도 분석
직장, 교통, 학군, 환경. 지역의 입지를 분석할 때 항상 염두해두어야 하는 요소들이다. 아주 기본 중의 기본인데, 이번 강의를 듣고 나서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구나’하고 새로운 관점을 배웠다. 변화 가능성을 기준으로 직장과 학군은 변화 가능성이 적고, 교통과 환경은 변화 가능성이 크다. 이런 부분을 염두해두고 입지 분석을 하면 더 다각도로 분석할 수 있을 것 같다.
BM → 입지 분석할 때 변화가 일어나며 미래가치가 향상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
2. 3가지 키워드로 정리하기
강사님의 지역 분석을 들으며 임보는 이렇게 써야되는구나 하고 배웠다. 그 중에서 가장 BM하고 싶었던 것은 3가지 키워드로 정리하는 것이다. 지역을 나타내는 단 3가지의 키워드로 정리하니 지역 특색이 더 명료하게 인식되고,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았다.
BM → 임보 지역개요 부분에서 지역의 핵심 키워드 3가지 넣기
3. 공급 물량? 물리적 거리도 함께 보자!
공급 물량이 많은 곳은 입지 등급을 낮게 매긴다. 투자자는 매매가와 전세가 갭 차이를 이용해야 하는데, 공급이 많으면 기존 단지의 전세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러면 갭은 더욱 커지고 투자하기 어려워진다.
해당 지역 내, 혹은 인근 지역에 공급이 많으면 투자 대상에서 제외해야할까? 그렇지 않다. 공급뿐만 아니라 물리적 거리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내가 관심있게 보는 지역과 입주 시작하는 신축 단지의 실제 거리도 살펴봐야된다는 것이다. 물리적 거리가 너무 멀면 공급이 있어도 사람들은 이동하지 않는다. 기존에 살던 곳의 직장, 교통, 학군, 환경을 벗어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BM → 지역 개요 중 공급 부분을 작성할 때 해당 지역과 입주 단지 간 거리도 함께 살펴보기
댓글
정어리님 강의 듣고 후기까지 쓰시느라 정말 수고 고생많으셨습니다 ^^~
꿀먹은정어리님~ 임보도 화이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