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양파링님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부드러운 말씀 속에 꼼꼼한 강의,뼈있는 내용이 있어 편하게 기대어 듣다가 나도 모르게 펜을 쥐게 만드는 강의였습니다.
서울 vs 평촌,수지
서울과 수도권의 전고점 비교. 90%이상 회복한 지역,85%이상,80%이상된 지역을 전부 올려주심.
내 앞마당 지도에 전고점 대비 상승률 지역을 표시해 보자. 전고점 지도를 통해 좀 더 내 앞마당과 다른지역 간 차이도 확인하고 수도권 내 상승흐름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파악해보자
입지를 파악하는데 변화가능성을 보는 이유.
수도권 아파트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 중에
변화 가능성 높은 것과 낮은것을 알고 입지를 파악한다.
한번 자리잡으면 쉽게 이동하지 않는 가치는 일자리와 학군,
교통과 상권/환경은 잦은 바뀜과 개발로 변화가능성이 높다
그 지역이 어떻게 변화할지 자료를 모으고 변화가능성이 높은 점은 무엇이고 낮은 점은 무엇인지 정량화해본다.
직장을 알아가며 키워나가는 투자인사이트
평촌의 한림대성심병원 주변 초원마을이 둘러쌓여 있다.간호사를 포함 1인가구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병상수 844개)
주변 직장을 보며 어떤 사람들이 다니고 그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거주지는 뭘까로 생각을 이어나가자
병원의 병상수까지 확인하며 그 규모를 확인하고 그 곳에 근무하는 사람들의 규모와 성격을 파악해야 인기있는 평형과 단지를 알 수 있다. 그럼으로 그 직장에 따라 소형평형을 무조건 배제할 필요 없다.
교통은 무조건 호재?
삼성역과 판교밸리처럼 주요 일자리로 연결되는가와 얼마나 획기적으로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지가 중요하다.
애매한 입지의 단지들도 교통 호재로 인해 입지 가치가 달라진다.같은 가격이면 이런 호재와 연결되는 단지에 우선순위.
현재가치+기회요인=미래가치 확인
입지 파악할 때 현재상황+호재=어떻게 바뀔지 예상하기
양파링님의 입지파악방법?
큰 중심을 잡고 뻗어나간다.일단 중심지 생활권부터 분석하고 인프라와 호재를 누릴 수 있는 인접 생활권을 분석
평형 구성 등 생활권별 아파트 특성 반영한 강약조절을 한다.
마지막으로 특별 관심 지역 분석
이번 임장지인 수정구,중원구를 파악할 때 생활권 나눌 때 애매해서 고민했는데 bm해보자
Q&A를 통한 지역분석하기
소형 아파트를 투자해도 될까?
구축 아파트 투자해도 될까?
방2개 ,복도식 아파트 투자해도 될까?
등등 그 지역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해 보고, 뭔가 아닌 지역에 투자해도 될지 망설여지면 이렇게 스스로 질문을 해보고 답을 찾아가 보자
이 동네(단지)에 투자했을 때 어떤 수요층이 있고 전세가는 잘 받쳐주는 단지인지, 어떤 리스크가 있고 어떤 점을 감수할 수 있는지,우선순위로 이게 첫번째인지 등등
요약하자면 무조건 안돼가 아니라 정말 싼건지,우선 순위가 맞는지,투자금이 적게 들어가는지,감당할 수 있는지를
질문을 통해 파악해보자
댓글
부원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