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저환수원리 중 원금보존
이번 강의에서 ‘저환수원리’에 대해 조금 더 깊고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셨습니다.
그 중에서 제가 요즘 계속 가지고 있던 고민에 대한 해답을 준 부분은 바로 ‘원금 보존’ 이었습니다.
서울, 수도권, 지방 모두 오르지 않을 것 같은 하락장을 지나서 갑자기 급등하고 있는 서울, 수도권 부동산 시장을 보면서 현재 나는 어떤 포지션을 가지고 가야할까? 는 의문을 계속 가지고 있었습니다.
2021년에 매수한 0호기에 대해 어떻게 대응을 해야할지에 대해 고민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상승장 막바지에 사지 않았지만 그래도 수익 구간은 아니었고, 좋은 입지의 아파트 가격이 날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0호기를 다뤄야 현명하게 투자를 해나갈 수 있을까? 란 의문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금이라도 팔고, 좋은 자산으로 투자를 할까?
지금이라도 팔고, 이사를 가는데 쓰면서 자산 재분배를 할까?
수익을 보고 매도한 이후에 자산 재분배를 하든, 투자를 하든 해야하는게 맞겠지? 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번 강의에서 확실하게 답을 내려주셔서 마음이 한결 편해짐과 동시에, 내가 ‘저환수원리’ 중 ‘원금 보존’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못했구나 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비록 엄청 싸게 사진 않았지만.. 수익이 난 시점에 팔아서 그 때 투자할 수 있는 것을 투자하는 것!
월부에 들어오기 전에 매수한 0호기이지만 나름 괜찮은 물건인 것을 알게되었기에 ‘원금보존’을 위하여 수익 구간이 올 때 까지 버티도록 하겠습니다!
내가 한 투자 복기하기
투자자는 본인이 한 투자에 대해 복기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 복기를 했을 때의 시야에 대해서 알 수 있었습니다.
올해 진행한 1호기 투자에 대해서 두루뭉실하게 복기를 했을 뿐, 세세하게 복기글을 쓰지는 않았습니다.
나의 앞마당에서 모든 단지를 전수조사를 할 때
후보 단지를 추출할 때
후보 단지의 매물을 털 때
후보 단지에서 1, 2, 3등을 뽑을 때
1, 2, 3등 중에서 1등을 선택하고, 계약을 할 때
전세를 세팅할 때
잔금을 치를 때
이렇게 수많은 프로세스 안에서 내가 ‘왜’ 이런 결정을 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 때의 내부/외부적인 상황까지 써야지만 진정한 복기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1호기를 할 때는 조급한 마음이 많았었고, 주변이 잘 보이지 않았지만
이제는 객관적인 시각에서 복기를 할 수 있는 만큼.. 8월에는 1호기 복기글을 꼭 쓰도록 하겠습니다!
복기를 통해 투자자로서의 통찰력을 키워나가겠습니다!
도미노를 쌓으며 팽이 돌리기
한 쪽에서는 열심히 도미노를 쌓다가 팽이가 쓰러질 때 쯤 가서 팽이를 다시 돌리는 일을 반복하는 것이 직장인 투자자의 삶이라는 말씀을 들었을 때, 정말 큰 공감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투자에 집중했다가 유리공을 지키러 갔다가 회사에 집중했다가 다시 투자에 집중했다가 널뛰기 같은 삶을 처음으로 경험했을 때는 정말 힘들었던 기억이 많습니다.
투자에 집중하고 싶은데, 가족과의 균열이 생기고
가족과의 균열을 잡았더니 투자에서는 뒤쳐지고
갑자기 회사가 바빠져서 투자와 가족은 뒷전이 되어 둘 다 못 챙기고
이런 상황들은 항상 나의 예상과는 다르게 매번 다가왔었고, 지금도 현재 진행중입니다 ^^
하지만 투자를 오래 하기 위해서는 가정/직장/건강은 지키면서 해야된다는 것, 웨이크 보드의 점프를 수시로 해나가면서 해야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머리로는 알면서도 이런 상황에서 답답할 때도 종종 있지만 이런 삶은 기본적으로 투자자로 성장하기 위한 밸런스를 지키는 것임을 다시 한 번 가슴에 새기도록 하겠습니다!
1강을 통해 나에게 적용할 것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