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며 돈 공부를 시작하고 독서를 시작했었습니다.
하지만 내가 정말 원한 것이었던 ‘돈’에 대한 직관적인 내용이 담긴 책은 읽어본 적이 없었음을 <돈의 속성>을 읽고 알았습니다.
이 책을 나의 말로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부자들이 삶을 대하는 방식을 알려주는 책” 입니다.
부자들이 돈을 다루는 방식 뿐 아니라, 삶의 태도에 대해서도 꼼꼼히 적혀있어 부자마인드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돈에 대한 책을 한 권 밖에 읽지 않았지만 돈을 아는 사람들이 말하는 내용은 같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복리의 중요성’ ‘필수적인 경제공부’ ‘돈은 소중히 다뤄야 떠나지 않는다’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재테크 책을 읽으면서 반복적으로 나왔던 내용들이 이 책에서도 나왔고,
‘리스크가 가장 클 때가 가장 적을 때이다’ ‘정기적인 수입의 중요성’ ‘잃지 않는 것의 중요성’ ‘빨리 부자가 되는 법은 없다’ ‘투자는 필수이다’ ‘미래는 예측할 수 없다’ ‘부자란 비근로 소득이 있는 사람’ ‘부자들은 매일 경제 뉴스를 본다’ 등의 내용은 월부에서 너바나님과 튜터님께 배운 내용과 같았습니다.
*책을 읽으며 감명깊었던 부분
-돈은 인격체다
이 파트를 읽으며 아주 어릴 때 배웠던 ‘내 물건들은 생명이 있어서 소중히 다뤄줘야 도망가지 않고, 내가 내 물건을 소중히 다뤄야 물건도 행복해한다’ 라는 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 아주 어릴 때 배워서 잊고 있었는데 이 책을 읽으며 기억이 나 깜짝 놀랐습니다.
그리고 ‘사람은 아주 중요한 것을 배워도 망각의 동물이라 금새 잊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 한번 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리스크가 클 때가 리스크가 가장 작을 때다
이 파트는 너바나님께 배운 내용이 그대로 들어있어서 너무 신기했습니다. 같은 내용을 다른 분께 한번 더 들으니 신기했고, 부자들의 본인의 경험을 통해 얻은 중요한 내용을 책이라는 아주 적은 금액으로 살 수 있는 것에서 얻을 수 있음에 한번 더 감사했습니다.
-반복되는 운은 실력이고 반복되는 실패는 습관이다
제목부터 너무 인상 깊게 읽은 파트입니다. 나의 반복된 실패는 습관이다. 사실 버릇이다. 이미 알고 있던 사실이었습니다. 그러나 익숙해서 매일매일을 똑같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변화하고 싶은 부분은 많지만 이런저런 핑계를 대면서 살아가고 있기에 이 대목이 인상 깊었습니다.
나쁜 일이 “반복되면 인생이 삶에 경고를 주는 것이라 생각하고 큰 사고가 나기 전에 평소의 모든 삶을 점검해야 한다.”
"평소에 항상 운이 좋은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은 사실 운이 좋다기 보다 일반적인 사람보다 예리하고 똑똑할 수 있다. 남이 보기엔 운이지만 본인 입장에서는 많은 공부와 관찰의 결과다" “이런 사람이 가장 조심해야 할 것은 자신은 운이 좋은 사람이라는 착각이다. 자신의 운을 믿고 불확실한 결과에 대담성을 보여 무모한 투자에 뛰어든다. 그러나 그것은 관찰과 학습을 벗어난 운이다.”
나는 어쩌면 멍청하게 사는 버릇을 들여 그대로 살고 있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정말 인상 깊었던 파트입니다.
-부의 속성
"열심히 산다고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아니다.
돈을 많이 번다고 부자가 되지도 못한다.
부자가 된다고 행복해지는 것도 아니다.
부는 삶의 목적이 아니라 도구다"
"도구가 목적을 해하지 않게 하려면 돈을 사랑하고 돈을 다룰 줄 알아야 한다. 돈이 목적이 되는 순간, 모든 가치 기준이 돈으로 바뀌고 집안의 주인이 된 돈은 결국 사람을 부리기 시작한다.
결국 사람이 돈을 대신해서 일을 하게 되며 돈의 노예가 된다"
-당신 사업의 퍼(PER)는 얼마인가?
“PER를 늘리지 않으면 아무리 많이 벌어도 일을 그만두는 순간 수입이 사라지기 때문에 장래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개인의 경제활동에서는 자본에서 생긴 돈만이 내 돈이다. 수입은 높지만 낮은 PER를 가진 직업이나 사업체를 가진 사람은 자신의 생활 수준을 바꿔야 한다. 이를 바꿔 적극적인 재산 이동을 통해 하루하루 자본이익을 만들어내야 한다. 당신의 수입은 진짜 수입이 아니었다.”
나의 PER는 얼마인가? 내 직업의 특성 상 특정 공간에 있지 않으면 기술을 사용할 수 없기에 높지 않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결국은 그 곳에 들어가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실패할 권리
“나는 아직 한 번도 내가 지휘하는 사장들이 실패했다고 징계를 해본 적이 없다. 오히려 도전하지 않았음을 탓한다.”
“실패는 권리다.”
“부모들 또한 자녀들의 실패에 너그러워야 한다. 실패를 오히려 환영 해야 한다. 많은 부모가 자신들은 실패했으니 자녀는 실패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을 갖는다. 그 이유로 실패 자체를 하지 못하도록, 도전도 하지 못하게 막음으로써 결국 실패하게 만든다. 실패를 하는 자녀를 두었다는 것은 도전을 하는 자녀를 가졌다는 뜻이다. 자신의 두려움을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이다.”
사실 평소 ‘도전’이라는 단어와 친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실패가 두려웠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열기반 때부터 도전에 대해 배우며 시도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 책을 읽으며 도전을 한 나의 만족의 정도가 내 생각의 기준에 미치지 못 한 것 같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고 도전하기! 실천 할 것입니다.
-책이 부자로 만들어줄까?
책을 읽으며 저자에게 몰입되어 지적 포로가 되어 거인의 엉덩이에 깔리지 말라.
(책에 나온 모든 글을, 사실을 넘어 진리로 받아들이고 자기의 생각을 버리지 말라)
300 페이지를 2-3시간이면 다 읽으신다는 말과 진짜 책인지 구분 가능하시다는 말이 너무 멋있었습니다. 지금은 책 읽는 초보여서 그런지 한 권 읽는데도 오래 걸리지만 계속 읽다보면 나도 책을 구분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해봅니다.
*생각
-오래 부자로 살기 위해서는 눈 건강이 필수겠다. (모든 것을 자료화 하고, 검색하고, 공부하기 위해서)
-아주 어릴 때 배운 사람의 됨됨이를 부자들은 중요하게 생각한다. (부자들의 삶의 태도)
-몇 년 후 다시 읽으면 생각하는 것이 많이 다르겠다. (좀 더 성장한다면 눈에 들어오는 파트가 다를 수 있겠다)
*적용할 점
1. 나의 모든 물건 정리,정돈하기
2. 타인을 귀하게 대하기
3. 나의 돈을 소중히 다루기 (+예쁜 쓰레기 모으지 않기)
4. 궁금한 것이 있다면 깊게 파보기
5. 경제 공부하기
6. 평소 행실을 단정히 하기(매너와 배려 갖추기)
7. 도전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