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부동산 투자자의 비교평가 기준점에 대한 명확한 제시가 좋았습니다.

  • 24.08.17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1. 먼저 부동산의 전반적인 시장을 볼 줄 알아야 한다.
  2. 절대적 저평가 시장인가? or 상대적 저평가 시장인가?  
  3. 절대적 저평가 시장에서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 다 싼데.  더 좋은 곳을 먼저 선택하라.
  4. 상대적 저평가 시장에서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 다 비싼데, 덜 오른 곳에서 먼저 싼 곳을 선택하라.
    • 그러면 비교평가를 어떻게 하면 되는가? - 
    • 첫번째. 먼저 구입하고자 지역 시장이 절대적인인가? 상대적인가? 판단하고.
    • 비교평가 할 단지를 찾는다- 절대 시장은 그 지역의 가장 동네를 선택하고, 단지를 찾는다.

      - 상대 시장은 전고점 -20% 하락한 곳 위주로 찾는다.

    • 단지  기초 정보를 정리한다. - 네이버 부동산을 이용한다.
    • 입지 요소로 가치를 판단한다.
    • 직장- 종사자수/ 교통- 도심과 소요시간/ 환경- 편의시설(백화점) / 학군 - 중학교 학급 성취도(아실)
    • ****질문?) 직장에서  종사자수는 어떤 사이트에 가면 쉽게 파악할 수 있나?
    • 가치와 가격을 판단한다(비교평가) - 가격이 비싸서 결코 가치가 높은 게 아니다.
    • 가치를 제대로 보는 눈을 키워서 앞마당을 늘려 나간다. - 경험의 시간이 필요함.
    • 매매가는 → 1~3층과 탑층 제외하고, 최저가로 설정한다.
    • 전세가는 → 층과 상관없이 최저가로 설정한다.

 

 

– 강의를 들으면서 의문점들…?

현재 부동산 지방이 절대적 저평가로 판단된다.  → 좋은 동네에서 중요 단지를 찾는다.

지방과 지방끼리 비교평가를 할 수 있는가? 주의할 점은 없는가?

예를 들어서 대전광역시, 세종시 천안를 비교하면 안되는가? 그러면 비교 입지 요소 가치 판단을 할 때,

직장은 무조건 종사자수로 해야만 하는가? 그러면  아산시 탕정역 주변과 세종시 도심 아파트를 비교할때

입지 요소 가치 판단중 직장과 교통을 비교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이럴때 어떡해야만 하는 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


달큐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