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임보의 신’인 게리롱 강사님이 전해주는 b지역 이야기. 한 여름 대청마루에 누워 할머니의 재밌는 이야기 듣는 손녀처럼 “우와”를 연발하며 들었다. 직접 보고, 투자해보고, 오래 지켜본 사람의 시각은 확실히 다르다는 걸 느꼈다. 지금까지 내가 쓰는 임보는 사실 과제이기 때문에 쓰는 거지 자발적으로 쓰라고 하면 진짜 절대 안 쓸 것 같은데 이와 같은 과정을 30회 이상 하시며 월간 게리롱을 출간했다는 거 자체가 대단하다. 나는 임보 쓸 시간만 되면 세상 안 하던 독서가 하고 싶고 다른 할 일이 마구 떠오르는데, 과제로만 여기지 않고 내 자산을 불려줄, 나의 투자 로드맵이라 생각하고 천천히, 꾸준히, 포기하지 않고 해봐야겠다.
-나에게 특히 와닿았던 점
나도 최근에 b지역에 대한 풍문을 많이 들었다. 거긴 가격이 안정적이라 잘 오르지 않는다, 그리고 이미 거긴 많이 올랐다, 지방은 소멸인데 거기라고 다르겠냐! 이런 선입견들과 내가 사는 지역과는 먼 거리로 임장지로 전혀 고려해보지 않았었다. 그런데 게리롱 님의 지역 분석을 들으며 가격과 공급 등을 데이터로 확인하니까 ‘왜 직접 보지도 않고 지레 겁을 먹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정말 아쉬웠다. 내가 조금만 더 이 지역에 먼저 관심을 갖고 꾸준히 들여다 봤으면 좋은 기회라는 걸 알았을 텐데. 이 지역을 앞마당으로 가지고 있으신 분들은 바로 투자 하셨겠지? 라는 약간의 시기심도 들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제조업이 주가 아닌 중소 도시에 사람들이 어떻게 많이 살고, 앞으로의 수요도 보장할 수 있는가 였다. 제조업은 경기를 타는 산업이기 때문에 이것이 주요 산업인 도시는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 영향은 그 도시의 부동산 시장에도 당연히 영향을 준다. (거주하는 지역민의 소득과 부동산은 직결되기 때문에) 급상승 또는 급하락 등의 롤러코스터가 가능하다는 것. 하지만 b지역은 공공 행정 및 금융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가까운 지역에 제조업의 결핍을 채워주는 산단이 존재하여 굉장히 매력적인 곳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곳이 금융도시라는 건 이번 강의를 통해 처음 알게 되었다.)
-적용해보고 싶은 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