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키량입니다.
월부를 시작한 이후 2년만에
실전반 강의를 처음 듣게 되었습니다.
좋은 기회를 얻게되어 감사하며,
첫 주차에 배운 내용들 중
인상깊었던 점 위주로 적어볼까 합니다.
현재 수도권 시장과 내가 해야할 일
본 강의 내용의 첫 파트를
현재 수도권 시장상황에 대한
멘토님의 인사이트로 채워 주셨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집중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 깨닫게 해주셨습니다.
기승전 ‘좋은 것’에 갇힌 나.
시장의 상황에 따라 그것을 할 수 있을 때가 있고,
아닌 때가 있음을 알게되었습니다.
제가 집중해야 할 것은
투자금과 단순히 서울이라는 지역이 아닌 가치와 가격이었습니다.
귀에 딱지가 앉을만큼 지겹도록 들어왔던 저평가.
강의에서 들을 땐 “맞아! 저평가. 나는 알고있어!” 하면서,
정작 바라보고 있는 곳은 누가봐도 ‘좋은 것’이었습니다.
가치있는 자산을 싸게 사는 것!
총 자산에 집중할 것!
시장 상황에 맞게 대응할 수 있는
현명한 투자자가 되기 위해
갇혀있던 ‘좋은 것’에서 벗어나야겠습니다.
수도권 투자의 기준
수도권에서 투자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시/구 단위의 큰 영역부터
단지라는 작은영역으로까지
가치 판단에 대한 기준과
판단 방법을 알려주셨습니다.
강의 내용을 들으면서
결국 땅의 가치를 제대로 알고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해야한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더 좋은 가치를 가진 지역 내에서
생활권별 선호 요소를 알고
그 기준으로 선호도를 파악하며,
단지별로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알 것.
감사하게도 이번 강의에서
그 가치들을 판단하는 기준을
더 깊고 자세하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가격만 붙여보고 좋고 덜 좋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닌,
이 단지와 지역이 가진 가치를 제대로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단순히 땅만 밝은 지역이 아닌 진짜 내 앞마당을 쌓아 나가야겠습니다.
수도권 권역 이해
같은 서울 수도권이라도
권역별로 가진 특징이 다 다르다는 것을
새롭게 알 수 있었습니다.
권역별 특징에 따라
투자 우선순위 또한 달라지는데,
□□보다 △△가 우선순위 되는지에 대한 이유를
권역의 특징과 연결시켜 설명해 주셔서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하나의 권역은 같은 지역적 특성을 지닌
다양한 급지의 지역으로 구성될텐데요,
같은 급지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1차적으로 같은 권역 내에서 상/하급지를 비교해본다면
현재의 가격수준 파악을 좀더 수월하게
접근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더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8시간에 가까운 긴 시간동안
수도권 투자의 기준과 전략을
정~말 자세하게 알려주신 제주바다 멘토님께
감사드립니다.
댓글
키량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